30여년을 갯벌·섬·어촌 연구한 ‘바다 인문학자’ 김준 교수

한대광 기자 2024. 4. 14. 15: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다는 자연자원이자 어민들 삶이 어우러진 인문자원”
슬로푸드한국협회 산하 슬로피시운동본부장 활동도
“이젠 도시 소비자도 공동생산자라는 인식 전환할 때”
<섬살이, 섬밥상> 출판, 8권짜리 <섬문화 답사기> 집필 중

일주일에 한두 번씩 갯벌·섬·어촌을 찾아가는 사람이 있다. 당일일 경우 두 차례, 2박 3일이면 한 차례씩 찾는다. 국내 유인도는 제주도를 포함해 473개인데 그의 발길이 닿지 않는 섬이 없다. 한 번 간 곳보다 서너 번씩 간 곳이 더 많다. 어부가 아니다. 한국의 어민, 어촌, 바다, 음식을 연구하는 김준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61)다.

김준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가 지난 2023년 인천 중구 영종도를 찾아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김준 교수 제공

그는 ‘바다 인문학자’다. 김 교수는 14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도시인들에게 바다는 먹거리의 주산지 정도로 치부되지만 수많은 생명체가 서식하는 자연자원이자 어민들의 삶이 어우러진 인문자원”이라며 “이러한 자연자원과 인문자원을 온전히 지키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논리가 아니라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고, 그래야 어민과 도시민 모두 공감하고 공유·동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다 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992년 어촌공동체를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저술하기 위해 바닷가를 찾기 시작한 이후 30여 년째 평생을 바다와 함께했다. 김 박사는 “처음엔 전남 완도의 섬마을을 찾아가 주민들 인터뷰도 하고 관찰하고, 토론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농촌과는 다른 어촌만이 가진 가치와 매력에 빠져들기 시작했다”면서 “계절은 물론 밀물·썰물 때마다 바뀌는 갯벌과 바다, 어민들의 삶의 방식, 음식 문화까지 연구하게 됐다”고 말했다.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가 2010년 강원 강릉시 주문진 해얀가에서 김 채취를 하고 있는 어민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김준 교수 제공

그는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 산하 슬로피시(Slow Fish)운동본부장도 맡고 있다. 슬로피시운동은 ‘지속가능한 어업과 책임 있는 수산물 소비’를 내걸고 있다.

김 교수는 “깨끗하고 공정하고 좋은 음식을 추구하는 게 슬로푸드의 가치인데 이런 건강한 먹거리를 위해서는 맛과 환경이 좋고 밥상에 올려질 때까지의 유통도 공정성해야 한다”면서 “해산물도 독특한 채취 전통과 지역성을 존중하고 사라질 위기에 처한 식재료를 지키기 위해 리스트도 작성하고 캠페인도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이젠 도시의 소비자도 공동생산자라는 인식의 전환을 통해 좋은 바다 식재료를 지킬 수 있다는 책임감을 갖고 생산자·소비자·음식 제조자 모두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김준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가 2017년 전남 신안군 장산도 갯벌에서 낙지를 잡는 어민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준교수 제공

실천적인 학술연구는 다양한 저술활동으로 이어졌다. 그는 지난 1월 전남 고흥군 동강면에서 독자 30여명을 초청해 지난해 12월 출간한 <섬살이, 섬밥상> 북 토크를 진행했다. 그는 이 책에서 다양한 해산물로 만든 125가지 바닷가 음식을 소개했다. 이 책은 요리책이 아니다. 음식으로 바다인문학을 담아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요리책은 음식 전문가들의 영역이고 저는 이 책에 바닷가에서 나는 재료가 갖는 의미는 물론이고 그 재료가 지속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담으려고 했다”면서 “도시민들도 이젠 수산물을 보는 시각이 대형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 바닷가 어민들의 삶의 가치를 공감하면서 소멸해가고 있는 어촌·섬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혹시 어촌으로 여행을 가게 되면 따뜻한 눈으로 갯벌과 바다를 보는 넓은 시야를 갖기를 부탁드린다”고도 했다.

김준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가 지난해 12월 출간한 <섬살이, 섬밥상> 책 표지. |김준 교수 제공

그는 <바다맛기행>, <바다인문학>, <물고기가 왜?>, <섬:살이>, <김준의 갯벌이야기> 등 섬과 바다를 담은 책도 저술했다. 그는 최근 6권 출간을 앞둔 <섬문화 답사기>에 대한 애정도 크다. 김 교수는 “2012년부터 <섬문화 답사기>를 책으로 출간하기 시작했는데 8권까지 목표”라며 “앞으로는 한국의 다양한 해양 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아이들의 눈높이 맞춰 글로 옮겨 이해를 돕도록 하는 책자도 선보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대광 선임기자 chooh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