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OTT 시청’ 대세…최신 개봉작은 ‘극장 관람’

김현아 2024. 4. 14. 10: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이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한 영화 시청이 극장(관람)을 앞섰지만, 최신 극장 개봉작은 극장을 직접 방문해 관람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OTT 영화 시청이 대세이긴 해도 최신 영화 관람을 위해서는 직접 극장을 찾아가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컨슈머인사이트 ‘영화 소비자 행태 조사’
최근 1년 OTT 영화 시청 경험률, 극장 관람 앞서나
최신 개봉작, 스케일 큰 영화 ‘극장 관람’ 많아
홀드백, 소비자 인지도 낮고 ‘부정’ 반응 커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코로나 이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한 영화 시청이 극장(관람)을 앞섰지만, 최신 극장 개봉작은 극장을 직접 방문해 관람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OTT 월구독료보다 비싸서 극장 이탈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진행한 ‘영화 소비자 행태 조사(3월2225일, 국내 2064세 남녀 1064명 대상)’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소비자가 경험한 영화 시청 방식(복수응답)에서 ‘OTT’가 74%로 ‘극장 관람(66%)’을 앞섰다.

그러나 최신 극장 개봉작의 경우, ‘극장에 가서 보는 편’이라는 응답이 37%로 ‘OTT에 공개되면 보는 편’이라는 응답(33%)보다 더 많았다.

OTT 영화 시청이 대세이긴 해도 최신 영화 관람을 위해서는 직접 극장을 찾아가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션, SF, 판타지 등 스케일이 큰 영화는 주로 극장에서 관람하고, 드라마, 로맨스, 코미디, 애니 등은 집에서 OTT로 시청했다고 한다.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이유는 대형 스크린과 음향 때문에(63%), 몰입이 잘 되는 환경 때문에(41%), 최신 영화를 가장 먼저 볼 수 있어서(41%)였다.

반면 극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보는 이유로는 언제 어디서든 영화를 볼 수 있어서(70%), 극장의 티켓 가격이 비싸서(39%), 극장을 방문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28%) 등을 들었다.

극장 관람 비율은 코로나 기간 크게 감소했고 앞으로도 크게 회복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최근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횟수가 3~4년 전과 비교해 ‘감소함’이라는 응답이 5명 중 3명 꼴(61%)이었고 ‘증가함’은 16%에 그쳤다.

앞으로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횟수는 ‘지금과 비슷할 것’이 58%로 과반수였지만 ‘감소할 것(28%)’이라는 응답이 ‘증가할 것(14%)’의 2배였다.

홀드백 규제, 10명 중 7명 ‘잘 모름·처음 들어봄’

영화의 극장 개봉과 OTT 공개 사이에 기간을 두는 ‘홀드백(Hold Back)’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낮았다.

홀드백에 대해 ‘잘 모름·처음 들어봄’이 71%에 달하고, ‘들어는 봤으나 내용은 잘 모름’이 24%였으며, ‘들어봤고 내용도 잘 알고 있음’은 5%에 그쳤다.

홀드백 제도의 취지를 설명한 후 이에 대한 입장을 묻자, ‘중립(43%)’이 다수이긴 했으나 ‘부정적(37%)’이 ‘긍정적(21%)’보다 우세했다.

적정한 홀드백 기간에 대해서는 ‘시장 자율에 맡기는 것이 좋다’가 4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13개월(40%)’ 그리고 ‘46개월(14%)’ 순이었다. 특히 홀드백 규제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응답자의 경우에도 다수가 ‘1~3개월’을 지지했다.

홀드백 제도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영화만 적용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69%)’, ‘요즘 소비자의 영화 시청 행태에 맞지 않는 제도(60%)’,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제도(58%)’라는 부정적 시각이 다수였다.

반면 ‘한국 영화산업(특히 극장 관람)에 활기를 불어넣을 제도(24%)’, ‘극장 관람객이 늘어날 것(22%)’ 등 긍정적 측면에 대한 공감은 많지 않았다.

주로 극장 이외의 채널로 영화를 보는 소비자의 경우 실제로 홀드백 기간이 늘어난다고 해도 ‘극장에 가서 볼 것 같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고, 나머지 90%는 OTT, 유튜브 요약본, 유/무료 VOD 등 극장이 아닌 다른 플랫폼을 선택했다.

따라서 홀드백 제도를 통한 극장 관객 유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