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안 되게 고집 피우는 '미운 세 살'도 호르몬 탓?

조태성 2024. 4. 13. 04: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내분비내과 의사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
생후 6개월쯤 성 호르몬이 폭증하는
'소(小)사춘기' 시기에 주목
북유럽 완구유통업체 탑토이가 젠더 중립을 반영해 만든 제품 카탈로그. 탑토이 홈페이지

페미니스트임을 자부하는 엄마, 아빠로서 내 아이에게 올바른 성평등 의식을 심어주기 위해 '젠더 중립'의 길을 모색한 이들은 대부분 좌절을 맛본다. 정말 갓난아기 때부터 남자아이는 차에, 여자아이는 인형에 더 관심을 보인다. 부모가 장난감을 거꾸로 쥐어줘 봐야 조금 더 자란 남자아이는 뛰어다니며 총 쏘는 걸, 여자아이들은 모여서 이야기 나누는 걸 좀 더 선호한다.

우리 부부가 뭔가 허점을 보인 게 아닐까. 아니면 부부 수준에서 아무리 조심해도 우리 사회 전체의 문제를 다 가릴 수 없기 때문은 아닐까. 스스로에게든, 이 사회에든 분노할 필요는 없다.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를 쓴 네덜란드의 20년 차 내분비 전문의 막스 니우도르프는 그걸 '소(小)사춘기'라는 말로 풀어낸다. 10대 중반, 아니 10대 초반부터 찾아온다는 사춘기 말고 또 다른, 그에 훨씬 앞선 '작은 사춘기'가 있단 말인가.

생후 1주일 '작은 사춘기'가 온다

1977년 미국 의사 로절린 앨로는 혈액 내 특정 물질 추적법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학자들은 이 기법을 이용해 다양한 호르몬 추적을 시작했다. 그 결과 "뇌와 성기의 상호작용이 아주 어린 나이, 즉 생후 일주일부터 약 2세 사이에 벌써 시작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사춘기 훨씬 이전에 태어난 지 얼마 되지도 않았을 무렵, 그 조그만 아이의 몸에서 다 큰 성인 남성과 여성 수준으로까지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라디올이 급격히 분출하는 '호르몬 폭풍' 현상이 관찰되더란 얘기다.

인체에 위치한 호르몬 분비샘. 이 작은 분비샘에서 나오는 호르몬이 인간의 사고 행동 패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어크로스 제공

이 호르몬 폭풍을 있는 그대로 다 받아내기엔 신경계와 다른 기관들이 아직 준비가 안 돼 있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그래서 갓난아기 얼굴에 갑자기 수염이 나거나, 가슴이 불룩 솟는 등 2차 성징 같은 본격적인 사건은 일어나지 않는다. 대개 생후 6개월쯤 호르몬 농도가 정점을 찍고 차츰 안정된다. 4~10세 기간은 보통 '안정기'로 분류된다. 이 과정이 일어나는 이유는 아직 잘 모른다. 사춘기를 예비한, 혹은 성별을 완전히 확정 짓는, 아니면 태어난 직후 온몸을 한 번 풀어주는 일종의 시험주행 같은 게 아닐까 추정만 할 뿐이다.

'미운 세 살' 작은 사춘기 때문일 수도

여러 실험 관찰 결과를 보면 호르몬 폭풍은 당연히 사고방식, 행동방식에도 일정 정도 영향을 끼친다. 말도 안 되게 제 고집 피우는, 흔히 말하는 '미운 세 살'도 이때의 호르몬 폭풍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남자아이들이 주변 지역을 탐색하고, 여자아이들이 방에서 재잘대며 노는 경향은 다름 아닌 호르몬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자폐증은 흔히 '지나치게 남성화된 뇌'가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이는 호르몬 폭풍 시기 테스토스테론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된 영향일 수도 있다.

젠더 정치는 이 시대 주요 이슈 중 하나다. 게티이미지뱅크

페미니즘이 큰 응원을 받으면서 섹스(Sex), 즉 자연적 성별을 넘어 사회적 성별을 뜻하는 젠더(Gender)라는 말이 널리 쓰인다. 오랜 세월 당해만 온 게 억울해 여성에게 주어진 성별 역할, 기대, 특성 같은 것들은 그저 사회적으로 구성됐을 뿐이란 목소리가 힘을 얻었고, 이 주장은 곧 사회적으로 구성됐으니 우리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뜯어 고칠 수 있다는 논리로 이어졌다. '섹스가 다리 사이에 있다면 젠더는 귀 사이에 있다'는 말도 있다.

작은 사춘기, 전문가도 잘 모른다

그런데 귀에다 젠더를 아무리 속삭여도 인간도 동물인 이상, 섹스의 범주를 아예 넘어서는 젠더가 마냥 가능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오해는 말길. 이런 얘기들은 의학적 평균의 관점에서 나온 얘기다. 인간 존재의 다양성이나 젠더와 페미니즘, 성평등 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부정하는 게 아니다.

저자 스스로도 동성애, 트랜스젠더, 성전환 같은 주제를 편견 없이 다뤘고, 여성의 몸을 남성의 '라이트 버전'으로 간주해 온 기성 의학에 대한 익숙한 비판도 해뒀다. 무엇보다 개체와 환경 간 상호작용의 원인이자 과정이자 결과인 호르몬은 이게 이거다라고 딱 잘라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를 쓴 네덜란드 의사 막스 니우도르프. 어크로스 제공

이 책 자체는 사실 아이 있는 집의 필독서라 불리는 '삐뽀삐뽀 119' 느낌이다. 한 사람의 일생과 호르몬 간의 상호작용 문제를 대중적 눈높이에서 다뤘다. 아이들 키와 관련된 성장 호르몬, 비만을 막는 호르몬, 중장년과 노년기에 알아둘 만한 갱년기와 장수 호르몬 문제 등 평소 궁금했던 이야기가 더 많다.

그럼에도 책 전반에 걸친 소사춘기 이야기가 도드라져 보이는 이유는 하나다. 저자는 "과학문헌에서 사춘기를 키워드로 검색하면 (소사춘기) 관련 글은 3%도 채 안 된다"고 해뒀다. 일반인은 물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그만큼 덜 알려져 있다는 얘기다. 아직 모르는 게 많다.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막스 니우도르프 지음·배명자 옮김·어크로스 발행·472쪽·2만2,000원

조태성 선임기자 amorfat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