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건’ 찍은 그 핵항모서, 전투기 3초 만에 화살처럼 솟구쳐
불과 3초 만에 전투기가 떠나간 비행갑판은 ‘캐터펄트(catapult·사출장치)’가 만들어 낸 매캐한 연기와 수증기로 금세 뒤덮였다. 동시에 강한 열기와 몸이 휘청일 정도의 후폭풍이 멀찍이 떨어져 있던 취재진을 덮쳤다. 취재진이 비행갑판에 머물렀던 약 10분간 5대가 넘는 전투기들이 승조원의 수신호에 맞춰 순식간에 항모를 박차고 날아올랐다.
이날 한·미·일 해상훈련을 이끈 건 10만t급의 시어도어 루스벨트함(CVN-71)이다. 영화 ‘탑건: 매버릭’의 하이라이트인 이·착함 장면의 촬영 장소로 유명한 항모다.
특히 훈련 공개 시점이 눈길을 끈다. 10일 미·일 정상회담, 11일 미·일·필리핀 정상회의 등과 맞물리면서다. 이는 역내 동맹들로 구성된 소다자 협의체들을 중심으로 한 ‘격자형 구조’로 대중 포위망을 구성하려는 미국의 의도를 명확히 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 한반도 인근에서 한·미·일 군이 함께 훈련에 나선 건 한·미·일 안보 협력 역시 이런 격자형 구조의 핵심이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여지가 있다.
한·미·일 취재진은 앞서 일본 오키나와의 카데나 공군기지에서 C-2 그레이하운드 수송기를 타고 항모에 착함했다. 수송기는 굵은 쇠줄인 ‘어레스팅 와이어(arresting wire)’에 물고기처럼 걸려 비행갑판 중간에 멈춰 섰다. 항공기를 항모 밖으로 ‘쏘는’ 역할을 하는 캐터펄트는 짧은 비행갑판에서도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다. 캐터펄트에는 새총이란 뜻도 있다.
루스벨트함 관계자는 “캐터펄트는 멈춰있던 항공기를 3초 만에 시속 160마일(약 249㎞)로 움직이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탑승자는 지구 중력의 3배에 가까운 가속도를 체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루스벨트함 갑판에는 F/A-18은 물론 전자전을 위한 현존 최강의 공격기인 EA-18G 그라울러, MH-60 시호크 해상작전 헬기 등 함재기들로 빼곡했다. 루스벨트함과 같은 니미츠급 항모들은 통상 웬만한 나라 전체의 공군력과 맞먹는 90여 대의 함재기를 싣고 다녀 ‘떠다니는 군사기지’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실제 루스벨트함 내부는 기지 하나를 통째로 바다 위로 옮겨 놓은 것처럼 복잡했다. 숙련된 승조원의 안내가 없다면 함 내에서 길을 잃기에 십상일 듯했다. 수송기에서 내려서 함 내로 들어갈 때는 함재기에 장착될 공대공미사일로 보이는 무기들도 눈에 띄었다.
함장실에는 이 항모가 이름을 딴 미국의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사진과 흉상이 가득했다. 함장실 벽면의 장식장에는 루스벨트 대통령을 모티프로 한 인형인 ‘테디 베어’도 놓여 있었다. 함장실에 설치된 TV는 한국의 LG 제품이었고, TV 아래에는 일본제 소니 사운드바가 구비돼 있었다.
오키나와=국방부 공동취재단·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