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기름칠 하고 돈칠도 하고”…10년 멈춘 ‘이곳’ 다시 돌아간다

이승훈 특파원(thoth@mk.co.kr) 2024. 4. 12. 23: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중 패권경쟁으로 중국이 반도체 공급망에서 제외되면서 일본 반도체 업계가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시스템 반도체 회사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가 지난 2014년 10월 폐쇄한 야마나시현 고후공장을 9년 6개월 만에 재가동했다고 보도했다.

고후공장은 폐쇄 전에는 PC에 들어가는 전원용 반도체를 주력으로 생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회사 日 르네사스
2014년 폐쇄 공장 재가동 돌입
전력 제어하는 파워반도체 생산
JS파운드리도 노후공장에 투자
일본 시스템 반도체 회사인 르네사스 로고
미·중 패권경쟁으로 중국이 반도체 공급망에서 제외되면서 일본 반도체 업계가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노후공장에 신규투자가 진행되는가 하면, 폐쇄됐던 공장의 문을 다시 여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1980년대 이후 글로벌 주도권을 뺏겼던 반도체 산업에 훈풍이 불고 있다는 분석이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시스템 반도체 회사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가 지난 2014년 10월 폐쇄한 야마나시현 고후공장을 9년 6개월 만에 재가동했다고 보도했다.

고후공장은 폐쇄 전에는 PC에 들어가는 전원용 반도체를 주력으로 생산했다. 하지만 재가동과 함께 이곳은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파워반도체 생산지로 바뀌었다. 최근 전기자동차(EV) 판매가 늘고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신규 데이터센터 수요도 커지면서 파워반도체가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파워반도체 시장 규모는 623억달러(약 86조원)로 전망된다. 2020년 이후 연평균 5.9%씩 꾸준히 성장 중이다. 시장점유율 1위는 독일의 인피니온 테크놀로지, 2위는 미국의 텍사스 인스트루먼츠다. 르네사스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2% 이하로 7~8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르네사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2025년에 파워반도체 생산량을 현재의 두배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폐쇄했던 공장을 재활용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반도체 공장을 새로 지으려면 수천억엔의 비용이 들고 착공부터 가동까지 2~3년이 걸린다”며 “고후공장의 경우 900억엔을 투자해 클린룸을 정비했고 1년 만에 가동을 할 수 있었다”고 보도했다.

일본 독립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회사인 JS파운드리도 40년 된 니가타 반도체 공장에 2025년까지 130억엔의 투자를 결정했다. 이를 통해 파워반도체 생산능력을 30% 늘린다는 계획이다. 투자금 중에서 50억엔가량은 정부에서 받는 보조금으로 충당한다.

해당 공장은 파나소닉이 1984년 지은 곳이다. 2011년 미국의 온세미가 매수했으며, 이를 JS파운드리가 2022년 12월에 온세미로부터 사들였다.

일본에는 1980년~1990년대에 지어진 반도체 공장이 많다.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약 80개의 반도체 공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늘어난 반도체 수요에 맞춰 노후 공장을 재생시키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될 정도다.

파워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나 대만의 TSMC가 자랑하는 최첨단 미세공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부분 100나노(10억분의 1m) 안팎의 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노후 공장을 잘 활용하면 충분히 생산이 가능한 구조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