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클라우드는 AI와 한몸”…AI시대 클라우드 육성 밑그림 그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AI(인공지능)와 SW(소프트웨어), 클라우드는 이제 각각 떼어놓고 정책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하게 이어지고 있다. 산업계 전반의 퀀텀점프를 위한 생태계 조성과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겠다."
과기정통부는 2015년 클라우드법 제정 이후 클라우드 기본계획을 세 차례 수립·시행하며 클라우드산업을 육성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인공지능)와 SW(소프트웨어), 클라우드는 이제 각각 떼어놓고 정책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하게 이어지고 있다. 산업계 전반의 퀀텀점프를 위한 생태계 조성과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2일 개최한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간담회'에서 강도현 제2차관은 이같이 밝혔다. 이 간담회는 과기정통부가 수립에 착수한 제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2025~2027년)의 정책과제 발굴을 위해 국내 기업들의 의견을 듣고자 마련됐다.
AI시대를 맞아 클라우드는 초고성능 연산 자원과 데이터 저장·처리 역량을 바탕으로 필수 인프라로 자리잡았다. 과기정통부는 2015년 클라우드법 제정 이후 클라우드 기본계획을 세 차례 수립·시행하며 클라우드산업을 육성해왔다. 이번 4차 기본계획에선 IaaS(서비스형 인프라)부터 SaaS(서비스형SW)까지 가치사슬 전반이 AI를 뒷받침하는 혁신 인프라로 거듭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체계적 계획 마련을 위해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민간·공공분과도 운영한다.
이날 양희동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TF 민간분과장)는 "클라우드는 미국을 비롯해 대부분 국가에서 전략산업화돼 있는데, 우리도 그런 지는 잘 모르겠다"며 "특히 SaaS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시장보다 규모가 커질 정도로 중요한 산업이 됐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계획의 핵심으론 국내 SaaS와 CSP(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 경쟁력 강화와, AI를 중심으로 한 이들 간 시너지 창출이 꼽힌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AI센터장은 "클라우드와 AI 경쟁력을 살리고 산업 생태계를 꾸려 소버린AI 수요가 많은 중동·동남아 등에서 기회를 잡아야 한다"며 "국가 전략산업이라면 공공영역을 외산 클라우드에 열어주는 게 과연 적합한지 고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SW산업의 SaaS 전환도 수요를 확보하며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공급자가 아니라 수요자 관점의 SaaS 개발·지원이 이뤄져야 사업 결과물을 내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활용사례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강종호 베스핀글로벌 서비스부문장은 "국내 시장만 갖고 SaaS 비즈니스를 하려면 비용에 비해 규모가 안 되므로 처음부터 글로벌을 겨냥해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국내 CSP들이 SaaS기업들로부터 더 많이 선택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관건이다. 서형수 알서포트 대표는 "해외까지 SaaS를 제공하려면 데이터 레지던시와 이중화 요건 때문에 각 2개 이상 현지 리전이 요구되기도 하는데, 국내 CSP들엔 쉽지 않은 일"이라고 짚었다. 박세희 채널코퍼레이션 IR·법률 리드는 "참고하거나 이용할 만한 레퍼런스와 라이브러리가 글로벌 클라우드에 더 많기도 하고, 서비스가 성숙되면 옮기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국내 CSP와 SaaS 업체들의 동반 해외 진출 등 상생을 위한 협력과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도 높아진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SaaS기업이 국내 CSP 선택 시 이점은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라며 "서비스에 필수적인 기능들은 글로벌 CSP보다 더 잘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본다. 버티컬에 따라 효과적인 국내 CSP를 택하면 공동의 노력으로 다양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성형AI 열풍으로 글로벌 빅테크들과의 경쟁이 심화된 CSP들이 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도 요구된다. 세제 혜택 제공, 보조금 지원, 공공서비스 구독료 체계 전환 등 다양한 방안이 제기된다. 이지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은 "자금 대출이나 펀드 마련 등 지원책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종찬 메가존클라우드 부사장은 "생성형AI 활용 아이디어는 고객으로부터 나온다"며 MSP(관리형서비스제공사)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원석 연세대 컴퓨터과학 교수(TF 공공분과장)는 "AI로 변화하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기회를 잡지 못하면 유럽처럼 방어적인 규제 위주로 갈 수밖에 없게 되는 단계에 와 있다"며 "저변 확대에 투자해온 3차 계획까지와 달리, 이젠 ROI(투자수익률)를 따져서 시장에서 통할 만한 필살기를 갖춘 서비스를 선별해 집중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속도로 정차 후 서 있던 40대 여성…차에 치여 숨져
- 의왕~당정역 구간 인명사고 1명 사망…전철 1호선 운행 차질
- 자매로 태어나 남매로 살다 함께 떠난 최고령 샴쌍둥이…"각자 삶 존중"
- "동생 죽었는데 장례비 좀…" 사기쳐 연인 돈 뜯어낸 50대
- "결혼할 여친 191회나 찔렀는데…징역 17년?" 딸 잃은 모친 절규
- "김영선 좀 해줘라" 尹대통령-명태균 녹취록 공개 파장… 대통령실 "공천 지시 아냐, 그저 좋게
- 생산·소비 `동반 추락`… 설비투자 홀로 8.4% 반등
- `합병 SK이노` 1일 출범…무자원 산유국서 `친환경` 에너지강국 도약 이정표
- "기술혁신이 ESG"...AI로 고령화 해결 나선 제약바이오기업들
- "가계대출 총량규제 맞춰라"… 신규억제 넘어 중도상환 유도하는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