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김정호의 '청구도' 실감미디어월' 실감 콘텐츠 공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11일 디지털도서관 지하 3층 실감서재에서 '청구도' 실감미디어월 실감 콘텐츠를 처음 공개했다.
'청구도' 실감미디어월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구도'의 다섯 번째 판본(1846~1849년경)을 기준으로, 600면의 지도를 OLED 전용 디스플레이어에 1:1 크기로 이어 붙여 32K 고해상도 지도로 구현한 실감 콘텐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11일 디지털도서관 지하 3층 실감서재에서 '청구도' 실감미디어월 실감 콘텐츠를 처음 공개했다.
'청구도' 실감미디어월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구도'의 다섯 번째 판본(1846~1849년경)을 기준으로, 600면의 지도를 OLED 전용 디스플레이어에 1:1 크기로 이어 붙여 32K 고해상도 지도로 구현한 실감 콘텐츠다.
이는 김정호가 '청구도'에 담아 놓은 다양한 지리·역사 정보, 당시의 이상기후, 교통정보 등을 감각적인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한 것이다. 지도 속에서 움직이는 사람, 동물 등의 이미지는 마치 조선 시대 마을을 보고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됐다.
'청구도'는 조선 시대 지리학자 김정호가 1834년부터 1849년경까지 다섯 번에 걸쳐 만든 조선 최고(最高)의 전국 지도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목판본 '대동여지도'(1861년)보다 10여 년 앞선 것이다.
현존하는 고지도 중 가장 큰 편(가로 462㎝, 세로 870㎝)으로 건(乾), 곤(坤) 2책으로 제작됐으며, 찾아보기 지도(색인도)가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색인도는 현대의 우리에게는 익숙한 형식이지만, 당대 동아시아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획기적인 방식이었다.
국립중앙도서관 신용식 지식정보서비스과장은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보·보물 등 귀중 자료에 디지털 기술을 입혀 만든 새로운 도서관형 실감 콘텐츠를 통해 우수한 우리 문화유산을 널리 알릴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cen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가슴 안 만져봤으면 이거 사라, 촉감 똑같다"…3세 주물럭 장난감 '품절'
- 사장 아내 성폭행한 20대 직원, 동료 여직원에게도 "너랑 자고 싶다"
- 미모의 포르쉐 판매 여왕, 성접대 루머에 "고객 70% ○○" 고백
- "내 얼굴 봤잖아" 폐모텔 강도살인범…훔쳐간 건 대파와 풍경종[사건의 재구성]
- "식당서 물고 빨고, 눈치 줬더니 화장실로…문 부서질 정도 애정행각"
- '이병헌♥' 이민정 "애 낳고 시력 잃었다" 출산 후유증 고백
- "엄마 때문에 소년원 갔다"…40년 절연 친형과 만난 최홍림 '혼란'
- 사시 역대 최연소 20세 합격자 "김앤장 퇴사, 통역대학원 진학"
- "도박중독 남편, 판돈 없자 애들 폰까지 들고 튀어…인연 끊고 싶다"
- '일용이' 박은수 "80억 쫄딱 날리고 여관 전전…돼지농장서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