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가채무 1천100조 원↑···국가자산 3천조 원 첫 돌파 [뉴스의 맥]

2024. 4. 11. 20: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국무회의 소식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살펴봅니다.

김찬규 기자, 먼저 작년 국가결산보고서가 심의 의결됐죠.

나랏빚, 국가채무가 1천100조 원을 넘어섰는데.

지난해 나라 살림 지표 어땠습니까?

김찬규 기자>

네, 정부 결산 결과, 지난해까지 누적된 국가채무는 1천126조 7천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9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

2022년 결산에서 1천조 원을 넘어선 뒤 1천100조 원도 넘어선 건데요.

사상 처음으로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의 절반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한해 증가 폭은 100조 원 안팎이던 직전 3년 전과 비교해 줄었습니다.

정부 설명 들어보시죠.

녹취> 장미란 /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정부는 건전 재정 기조로 전환해 2027년 국가채무를 GDP 기준 53%에서 억제한다는 목표하에 역대 최고 수준의 강도 높은 지출 구조조정을 단행하였고, 재정 총량을 엄격하게 관리한 결과 국가채무 증가세는 급격하게 둔화돼..."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 살림살이를 가늠할 때 관리재정수지를 확인하는데, 이건 어떻습니까?

김찬규 기자>

네, 일단 지난해 총수입을 살펴봐야 하는데요.

정부 총수입은 573조 9천억 원으로 세수가 줄면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4조 원 가까이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정부는 610조 7천억 원을 썼는데요.

총수입에서 이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6조 8천억 원 적자였습니다.

다시 여기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한 게 관리재정수지인데요.

87조 원 적자를 기록했는데, 전년보다 적자 폭이 30조 원 줄었습니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3.9%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앞서 국회에 제출한 재정준칙에서 2025년부터는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비율을 3% 이내로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대환 앵커>

또 관심이 가는 게, 자산인데요.

지난해 우리나라 재무제표는 어떻게 달라졌습니까?

김찬규 기자>

국가자산도 사상 처음으로 3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3천14조 5천억 원으로 2022년과 비교해 180조 9천억 원 늘었습니다.

국민연금이 역대 최고 수익률을 거둔 데 따른 건데요.

2022년 고금리로 자산이 30조 원가량 줄어든 뒤 한 해 만에 증가했습니다.

국가부채는 지난해 2천439조 3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113조 3천억 원이 늘었는데, 재정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국채 발행을 늘린 데다, 공무원과 군인연금의 현재 가치액이 증가한 게 원인으로 꼽힙니다.

정부는 건전 재정을 재차 강조했는데요.

국무회의를 주재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미래 세대에게 빚과 부담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약속"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대환 앵커>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안건도 함께 살펴볼까요?

김찬규 기자>

네, 먼저 가정 밖 청소년 자립 지원이 강화됩니다.

청소년복지 지원법 시행령이 일부 개정된 건데요.

가정 밖 청소년의 범위가 청소년 복지시설에 입소해 있거나 퇴소한 사람으로 구체화 됐고,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자립 지원 조치에 추가됐습니다.

'평생교육법 시행령' 개정안도 의결됐습니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기관도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처럼 등록금, 교육과정 등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국무회의에서는 대통령령안 17건, 일반안 4건 등 총 22건이 심의, 의결됐습니다.

최대환 앵커>

취재기자와 함께 국무회의 주요소식 알아봤습니다.

김찬규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