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유튜브 100만 시간 봤어? [Global]

김다린 기자 2024. 4. 11. 19: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네꼭지로 본 세계
NYT “AI 위법하게 데이터 수집”
호재에도 폭락 중인 테슬라 주가
AI 기술 패권 앞서 나가는 미국
역주행 중인 미국의 고용지표
생성형 AI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저작권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생성형 AI 열풍의 그림자]
챗GPT, 유튜브 100만 시간 봤어?

미국 빅테크가 저작권 규정을 무시하고 AI 학습용 데이터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내부 사정을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오픈AI가 GPT-4 모델을 한창 개발 중이던 2021년에 AI 학습용 데이터가 바닥을 드러내자 유튜브 영상을 무단으로 학습했다는 거다.

GPT-4는 100만 시간이 넘는 유튜브 콘텐츠를 학습했는데, 문제는 이게 유튜브 규정을 어기는 행위라는 거다. 유튜브는 영상을 다른 독립된 기능을 위해 사용하는 걸 금지하고 있다. NYT에 따르면 당시 오픈AI의 직원들은 이런 위법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AI를 학습시키는 것만은 정당한 이용 목적에 해당할 수 있다고 믿었다.

유튜브 영상을 AI 학습에 활용한 건 오픈AI만이 아니었다. NYT에 따르면 공교롭게도 유튜브의 모회사인 구글도 일부 영상을 자체 AI 개발에 사용한 상황이었다. 구글이 오픈AI의 저작권 침해를 적극적으로 어필하지 않은 이유 역시 구글도 함께 엮여 문제가 커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거다.

구글·챗GPT만의 문제가 아니다. NYT는 AI 개발 경쟁에 뛰어든 메타 역시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게시물뿐만 아니라 소설·에세이와 같은 저작물까지도 무단으로 손을 댔다고 보도했다. 이는 생성형 AI가 겪는 불가피한 논란이기도 하다. 생성형 AI의 특성 중 하나는 인터넷에 공개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한다는 거다. 저작권자와 정보주체의 사용 허락을 받아야만 적법한 사용이 되지만, 일일이 허락을 받는다는 건 사실상 어려운 문제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테슬라 주가 春풍낙엽]
머스크, '로보택시'로 반전 꾀했지만…

테슬라의 올해 1분기(현지시간) 전기차 인도량(판매량)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면서 주가가 가파르게 떨어졌다. 테슬라의 1분기 전기차 인도량은 38만6810대로 2020년 2분기 후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테슬라의 주가가 올 들어 30%가량 하락했다.[사진=뉴시스]

이는 월가의 전망치(44만9000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는 데다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진 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다. 중국 승용차협회에 따르면 테슬라의 중국 전기차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분기 10.5%에서 4분기 6.7%로 3.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주가에도 반영되고 있다. 지난 1월 2일 248.42달러를 기록했던 테슬라의 주가는 현재(4월 5일 기준) 164.90달러로 33.6% 떨어졌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자율주행이 가능한 무인택시인 '로보택시' 공개 계획을 밝히는 등 주가 띄우기에 나섰다.

머스크 CEO는 지난 5일(현지시간) 자신의 X 계정에 "테슬라 로보택시(Robotaxi), 8월 8일 공개"라는 게시물을 게재했다. 이후 테슬라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4.8% 올랐지만 고꾸라진 주가를 끌어올리는 덴 효과가 제한적일 거란 분석이 많다.

이유는 별다른 게 아니다. 테슬라가 로보택시 사업계획을 밝힌 건 2019년이다. 당시 "2020년부터 로보택시를 상용화하겠다"고 선언했지만 5년이 흐른 지금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테슬라에 앞서 로보택시 사업에 뛰어든 '크루즈'도 굴욕을 맛봤다.

제너럴모터스(GM)의 자회사 크루즈는 구글의 자율주행 계열사 '웨이모'와 함께 지난해 8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24시간 로보택시를 운영했다. 하지만 인명사고가 잇따르면서 2개월 만에 운행허가가 중단됐다.

이 때문인지 테슬라의 성장을 두고 회의적인 시각이 많아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6일 "테슬라의 성장성에 의문을 갖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면서 "주가의 반등 시점이 더 늦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美 수출규제 직격탄 맞은 中]
미국에 2년 뒤처진 AI 기술력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그룹의 공동창업자 차이충신 회장이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 탓에 중국의 인공지능(AI) 개발이 미국에 몇걸음 뒤처져 있다고 밝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6일 차이충신 회장이 노르웨이은행 투자운용 부문 니콜라이 탕겐 최고경영자(CEO)와의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AI 개발 속도가 미국보다 2년 정도 뒤처져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사진=뉴시스]

차이충신 회장은 중국의 AI 기술이 뒤처진 원인으로 미국의 대중 수출 제한 조치를 꼽았다. 미국은 중국을 향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은 기술을 사용한 첨단 반도체 장비나 AI칩 등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규제를 발표했다.

지난 3월엔 첨단 AI 프로세서와 반도체 제조 장비는 물론 반도체가 들어간 노트북까지 중국이 수입하는 것을 막는 규제까지 내놨다. 예컨대, 중국 기업이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첨단 반도체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은 셈이다. 이 규제는 지난 4일부터 시행했다.

"미국과의 기술 격차는 단기적으로는 물론 중기적으로도 문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본 차이충신 회장은 미국의 규제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체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AI는 필수적"이라며 "중국은 장기적으로 엔비디아와 같은 첨단 반도체를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홍승주 더스쿠프 기자
hongsam@thescoop.co.kr

[美 고용통계 발표]
꺾이지 않는 고용의 봄, 연준의 골머리

3월 미국 사업체들이 만들어낸 일자리가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이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가 또 한발짝 멀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5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월간 고용보고서를 통해 3월 한달간 정부기관 포함 비非농업부문 사업체가 30만3000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인 20만~21만개를 훨씬 웃돌았다.

실업률도 여전히 낮다. 가계조사를 통한 실업률 통계에 따르면, 3월 실업률은 3.8%로 2월 3.9%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4.0% 이하 실업률은 26개월째다. 1960년대 이후 취업 상황이 가장 좋은 상태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꺾으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바라는 상황이 아니다.

3월 미국 실업률은 떨어지고 새 일자리는 늘었다.[사진=뉴시스]

연준의 정책적 관점은 고용률이 높고 실업률이 하락하면 물가가 올라간다는 전통적 경제학에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의 호황이 꺾이지 않는다면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연준은 지난해 인플레이션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계속하면서 대출·고용 비용을 끌어올렸다. 그럼에도 급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기업과 정부기관은 높은 수준의 신규 고용을 계속해 연준이 기대한 정책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연준은 올해 하반기에는 기준금리를 인하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혔다. 하지만 지금은 실업률이 떨어지고 고용률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되레 커지고 있다. 고용 지표가 지속해서 호조세를 띤다면 금리 인하는 2025년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