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악화에 캐피탈社 수익성 `악화일로`

김경렬 2024. 4. 11. 18: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캐피탈사들의 수익성이 1년 새 10% 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캐피탈사는 연체율을 상당 부분 낮춰 관리하고 있지만 부실이 일제히 터질 경우 눈덩이 손실로 돌아올 수 있다.

주요 5곳의 이자비용을 살펴보면 지난 한 해 현대캐피탈의 이자비용은 3756억원 늘었다.

이어 하나캐피탈의 이자비용 증가폭은 2290억원, KB캐피탈 1569억원, 신한캐피탈 115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005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자 부담에 수익성 10% '뚝'
하나캐피탈, 순익 817억 감소
사채 이자비용은 3000억 늘어
<연합뉴스>

캐피탈사들의 수익성이 1년 새 10% 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치솟으면서 이자비용 부담이 커진 탓이다. 특히 실물경제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건전성 관리도 필요한 상황이다. 일부 캐피탈사는 연체율을 상당 부분 낮춰 관리하고 있지만 부실이 일제히 터질 경우 눈덩이 손실로 돌아올 수 있다. 금융당국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11일 각사 공시자료에 따르면 현대·신한·하나·KB·우리금융 등 캐피탈업체 주요 5곳의 작년 연결 당기순이익은 1조2948억원이다. 지난 2022년(1조4388억원) 대비 1440억원(10.0%) 감소했다.

업체별로는 현대캐피탈이 4599억원으로 가장 높고, 신한캐피탈 3040억원, 하나캐피탈 2166억원, KB캐피탈 186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278억원 등이다.

전년 대비 감소폭은 하나캐피탈이 817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우리금융캐피탈 552억원, KB캐피탈 306억원 등 순으로 순이익 많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캐피탈과 신한캐피탈의 순이익은 증가했다. 법인세 덕분이다. 현대캐피탈은 앞서 2022년 납부했던 법인세 중 272억원을 환급받아 같은 기간 순이익이 228억원 증가했다. 신한캐피탈도 법인세를 조정한 결과 순이익이 7억원 늘었다.

전반적인 업황은 비용 증가로 신통치 않았다. 영업비용 상승 요인은 크게 두 가지다. 고금리 여파로 늘어난 이자비용과 건전성 관리를 위해 보수적으로 쌓은 충당금이다.

주요 5곳의 이자비용을 살펴보면 지난 한 해 현대캐피탈의 이자비용은 3756억원 늘었다. 특히 사채 이자비용이 3000억원 가량 늘었다. 최대주주 특수관계인인 'Hyundai Capital Bank Europe Gmbh'과의 거래만 살펴보더라도 금리는 지난해 5월 5.85%, 같은 해 9월 6.14%로 계속 뛰었다. 지난 2018년 2.86% 대비 두 배 이상으로 오른 것이다. 이어 하나캐피탈의 이자비용 증가폭은 2290억원, KB캐피탈 1569억원, 신한캐피탈 115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005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부동산PF 시장이 침체되면서 충당금도 더 쌓아야했다. 각사별 건전성 관리 현황을 살펴보면 현대캐피탈의 대손상각비는 2794억원으로 전년대비 8000억원 가량 늘었다. KB캐피탈은 회복할 수 없는 신용 손실(손상차손)에 대해 2678억원을 재무에 반영했다. 전년대비 1400억원 가량 증가한 액수다. 하나캐피탈의 대손충당금순전입액은 2093억원으로 전년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신한캐피탈의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1776억원으로 전년의 8배 수준이다. 우리금융캐피탈의 대손상각비 역시 2149억원으로 전년의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캐피탈사의 현금 곳간은 크게 쪼그라 들었다. 업체별 순위도 오락가락 하고 있다. 고금리로 인한 차입금·사채 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2022년 말 기준 상위 5곳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현대캐피탈이 1조7476억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KB캐피탈(9173억원), 신한캐피탈(7247억원), 하나캐피탈(6771억원), 우리금융캐피탈(6688억원) 순이다. 지난해 말에는 현대캐피탈(8112억원), 신한캐피탈(5507억원), 우리금융캐피탈(5002억원), 하나캐피탈(4953억원), KB캐피탈(3891억원) 순으로 변동됐다. KB캐피탈이 최하위, 하나캐피탈이 4위로 내렸다.

캐피탈사들은 올해 역시 대출 연체로 보릿고개를 보낼 전망이다. 총선 이후 옥석가리기가 본격화되면 금융당국의 압박도 한층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월 "정당한 손실 인식을 미루는 등 그릇된 결정을 내리는 회사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퇴출을 불사 하겠다"고 경고했다.

김경렬기자 iam1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