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ELS 손실에 ‘250조 시장’ 발목 잡힐라···은행권 신탁자산 위축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신탁 자산이 지난해 250조 원을 돌파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신탁 자산(퇴직연금 제외)은 258조 7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5.1%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한·KB가 전체 성장 이끌어
"중·저위험상품 라인업 늘려야"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신탁 자산이 지난해 250조 원을 돌파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은행권이 비이자수익 확보를 위해 종합자산관리 부문 확대에 집중하면서다. 다만 올해는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여파로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신탁 자산(퇴직연금 제외)은 258조 7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5.1% 늘었다. 2021년 말(199조 3509억 원)과 비교하면 2년 만에 30%나 성장했다. 신탁 자산은 크게 돈을 관리하는 금전신탁, 돈 이외의 재산을 운용하는 재산신탁으로 나뉜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신한은행의 신탁 자산은 2022년 60조 820억 원에서 지난해 말 85조 7864억 원으로 무려 42.7%나 증가했다. 재산신탁이 21조 원(63.3%)가량 급증한 덕분이다. 신한은행의 전체 신탁 자산 중 재산신탁 비중은 63%로 금전신탁을 크게 웃돌았다. 국민은행의 신탁 자산은 같은 기간 42조 9740억 원에서 59조 6180억 원으로 38.7% 늘었다. 국민은행은 전통적으로 소매금융에 강점이 있는 만큼 금전신탁 비중이 78%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통적인 신탁업 강자로 꼽히는 하나은행도 신한을 바짝 뒤쫓고 있다. 지난해 70조 800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9.3% 늘었다. 성장률은 4대 시중은행 중 3위지만 자산 규모는 신한에 이은 2위다. 반면 우리은행은 1년간 1조 원(2.4%)을 늘리는 데 그쳤다.
신탁 규모가 크게 늘어난 것은 은행권이 비이자이익 확대를 위해 상품 라인업을 늘리고 전문 컨설팅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시중 자금을 끌어모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올해 이 같은 성장세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ELS 손실 사태를 비롯해 은행권 불완전판매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신탁 상품 판매가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신탁사업부의 한 관계자는 “은행에서 판매 직원과 창구를 제한하면 자연스럽게 판매량과 관련 수익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며 “투자자 보호를 위해 세분화된 안전장치를 제도화하고 중·저위험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성숙한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동희 기자 dwise@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는 솔로' PD, 딸 작가 데뷔→재방송료 가로채기 의혹…연이은 논란
- '월드컵 4강 신화' 히딩크, '한국 대표팀 다시 맡아달라' 질문에…
- '바가지 논란' 소래포구 '유튜브 찍으려면 허락 받아라'
- 아이유 측, '팬 암표 누명 논란' 사과 '과도한 소명 절차 개선할 것' [전문]
- 대세는 ‘나는 솔로’ 말고 ‘나는 절로’…사찰에 모인 미혼남녀들, 결과는?
- '송하윤 폭행으로 전치 4주…사과도 없었다' 학폭 의혹 피해자, 추가 폭로(종합)
- '10대 소년들 만나려고'…나이 속이고 성착취한 20대女에 美 '발칵'
- '난 정치색 프레임 피해자' 호소한 김규리, 사전투표 때 입은 옷 색깔이…
- '돌 씻는 이 영상' 뭐라고 조회수 930만…망해가는 회사 살렸다
- '1억 넘는데 '연두색' 아니네'…법인차 번호판 '황당 꼼수'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