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인 가구 1000만 시대 개막,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 시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의 1인 세대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전국 1인 세대 수는 1002만1413개로 역대 최고치다.
연령별로는 60∼69세가 185만1705세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 이상 고령 1인 가구가 198만297세대다.
그동안 1인 가구는 주거와 복지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게 사실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령별로는 60∼69세가 185만1705세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 이상 고령 1인 가구가 198만297세대다. 그다음이 30∼39세 168만4651세대, 50∼59세가 164만482세대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225만1376세대, 서울이 200만6402세대 순으로 많다. 1인 가구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한다는 뜻이다. 성별로는 남자가 515만4408세대, 여자가 486만7005세대다. 반면 4인 세대는 403만386세대로 지난해 3월(417만6516세대)보다 3.5% 감소했다. 4인 세대가 무너지는 속도가 가파르다는 얘기다. 1인 가구 1000만 시대가 본격 도래한 만큼 연령별, 성별, 지역별 맞춤형 지원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1인 가구의 증가는 청년층과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실정이다. 청년층의 경우 취업난으로 가정을 꾸리지 못하니 1인 가구가 늘 수밖에 없다. 안정적인 수입 없이 고시촌 등에서 거주하는 젊은이가 수두룩하다. 고령층에서는 가정 해체와 사별 등으로 독거를 감내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처럼 1인 가구의 이유는 연령, 성별, 지역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하다. 정부가 정책을 수립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대목이다.
고령화가 가속화할수록 1인 가구 비중은 커질 것이 분명하다. 그동안 1인 가구는 주거와 복지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게 사실이다. 주거 문제에 관심이 높은 청년층은 주택청약제도와 임대주택 입주 조건 등에 대해 여전히 불만이다. 1인 가구에 특화한 분양·임대 주택을 늘리는 등 젊은 층을 겨냥한 용의주도한 주거 안정 정책이 필요하다. 고령층의 가장 큰 걱정은 의료비이고, 두려운 건 고독사라고 한다. 이들이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세밀한 복지정책 보완이 있어야 하겠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4인 가구 중심으로 설계돼 있는 복지제도의 근본적인 수술도 서두르기 바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