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도, SK하이닉스도, TSMC도···왜 미국에 돈 쏟을까

노도현 기자 2024. 4. 9. 16: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건설 현장. EPA연합뉴스

국내외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에 대한 신규 투자 계획을 내놓거나 기존 투자 규모를 대폭 늘린다는 소식이 연일 들려오고 있다. 건설비·인건비가 비싼 미국에 앞다퉈 공장을 지으려는 이유는 뭘까. 미국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지급과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증가가 주 요인으로 꼽힌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다음주 공개할 삼성전자에 대한 보조금 액수가 60억달러(약 8조2000억원) 이상으로 미국 인텔, 대만 TSMC에 이어 세 번째로 클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발맞춰 삼성전자는 추가 투자 계획을 발표한다. 로이터,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기존 투자 규모보다 2배 넘게 늘린 440억달러 이상을 미국에 투자할 계획이다. 텍사스주 테일러에 지을 새 반도체 공장과 첨단 패키징(후공정) 시설, 연구·개발(R&D) 센터와 알려지지 않은 장소에 대한 추가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삼성전자는 테일러에 170억달러를 들여 올해 말까지 파운드리(수탁생산) 공장을 세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세계 파운드리 1위 TSMC는 미국 투자 규모를 250억달러 늘린 650억달러로 책정하고 2030년까지 미국 애리조나주에 파운드리 공장 3개를 짓기로 했다. 미국 정부가 66억달러의 보조금과 50억달러 규모 저리 대출을 제공하기로 한 데 대한 화답이다. 미국 사상 외국인 직접 투자로는 최대 규모라고 한다. 인텔은 향후 5년간 1000억달러를 투자하고 85억달러의 보조금과 대출 110억달러를 제공받기로 미국 정부와 잠정 합의했다.

SK하이닉스도 최근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억7000만달러를 들여 AI 메모리용 첨단 패키징 생산기지를 건설한다고 알렸다. 2021년 투자를 발표한 삼성전자가 아직 보조금을 받지 못한 점을 감안하면 SK하이닉스가 실제 보조금을 손에 넣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결심한 데는 ‘보조금’의 힘이 있었다. 2022년 제정된 미국 반도체법은 자국 내 공장을 짓는 기업에 반도체 생산 보조금으로 총 390억달러, R&D 지원금으로 총 132억달러 등 5년간 총 527억달러를 지원하게 돼 있다. 미국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세계 반도체 생산의 37%를 차지했지만 2020년 12%까지 줄었다. 설계와 연구·개발에 집중하며 생산은 대만, 한국, 일본, 중국 등에 외주를 맡긴 탓이다. 반도체법은 첨단산업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나왔다.

AI 분야 빅테크 기업 고객들이 미국에 몰려 있는 점도 미국 투자를 이끌었다. 대표적으로 AI 반도체 시장의 ‘큰손’인 반도체설계 기업(팹리스) 엔비디아가 있다.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에 대한 활발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 자체도 투자 의욕을 불러일으켰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 빅테크 기업들이 많으니 현지에 투자를 하다 보면 고객 및 협력사들과의 협업이 확대되고 기존 사업을 더 잘할 수 있게 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대규모 보조금 지원과 기업의 투자가 양쪽 모두에 성공적인 결과를 불러올지는 지켜봐야 한다. 공장 건설부터 운영까지 높은 비용이 발목을 잡는 데다, 미국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대신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반도체법에 따라 지원받은 기업은 10년간 중국 내에서 첨단 반도체 생산능력을 5% 이상 확장하지 못한다. 수익 전망치를 넘어선 이익은 미국과 나눠야 하는 조건도 붙어 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