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반도체, 하이브리드 본더 우선 개발시 HBM 지위 굳힌다"

김민석 기자 2024. 4. 9. 16: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도체 장비 기업 한미반도체(042700)가 하이브리드 본더를 우선 개발할 경우 글로벌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 지위를 확고히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9일 곽민정 현대차증권(001500) 연구원은 "한미반도체는 TSMC-SK하이닉스(000660)의 인공지능(AI) 고대역폭 메모리 연합군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SK하이닉스가 인디애나 팹을 통해 HBM을 양산·패키징을 담당하고, TSMC가 애리조나 팹에서 GPU를 포함한 CoWoS 패키징 공정을 한 뒤 미국 하이퍼스케일러 업체들에 공급하는 방식의 새로운 동맹 움직임이 미국 내에서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證 "엔비디아 AI HBM 연합군 수혜에 수주 모멘텀 지속"
"AI 산업 성장 위한 HBM·검사장비 수요 장기간 증가"
한미반도체 본사 1공장(한미반도체 제공) ⓒ News1 김민석 기자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반도체 장비 기업 한미반도체(042700)가 하이브리드 본더를 우선 개발할 경우 글로벌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 지위를 확고히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9일 곽민정 현대차증권(001500) 연구원은 "한미반도체는 TSMC-SK하이닉스(000660)의 인공지능(AI) 고대역폭 메모리 연합군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SK하이닉스가 인디애나 팹을 통해 HBM을 양산·패키징을 담당하고, TSMC가 애리조나 팹에서 GPU를 포함한 CoWoS 패키징 공정을 한 뒤 미국 하이퍼스케일러 업체들에 공급하는 방식의 새로운 동맹 움직임이 미국 내에서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Made In USA 인공지능(AI) 칩을 확보하겠다는 미국 행정부의 의지에 따라 'On-Shoring'(온 쇼어링) 전략은 지속될 것"이라며 "한미반도체의 HBM 관련 장비들의 수주 모멘텀은 매우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마이크론(Micron)의 실적 발표, 엔비디아의 GTC 2024에서 볼 수 있듯 AI 산업은 성장 초기 단계"라며 "AI 산업 성장 구현을 위한 HBM의 수요는 여전히 강력해 한미반도체의 HBM 및 2.5D 패키징 관련 TSV-TCB 장비와 수율(Yield rate) 관리를 위한 검사장비 수요는 장기간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 연구원은 한미반도체에 대해 목표주가 2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곽 연구원은 지난달 25일엔 한미반도체 목표주가를 기존 13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했다. 역대 한미반도체의 증권가 목표가 중 가장 높은 수치다.

ideae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