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AI 확산에 반도체 유리 기판株 강세… 와이씨켐, 18%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인텔을 비롯해 SKC, 삼성전기 등이 유리 기판 관련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상장사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 기업은 유리 기판 관련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SKC를 비롯해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국내 기업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리 기판 생산을 위한 투자에 나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인텔을 비롯해 SKC, 삼성전기 등이 유리 기판 관련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상장사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1분 기준 와이씨켐은 전 거래일 대비 5500원(18.71%) 상승한 3만4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필옵틱스는 3300원(11.06%) 오른 3만3150원에 거래 중이다. HB테크놀러지도 6.99% 상승세다.
이들 기업은 유리 기판 관련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리 기판은 기존 플라스틱 소재 대신 유리를 채용한 기판을 뜻한다. 유기 소재보다 딱딱해서 세밀한 회로 형성이 가능하고, 열과 휘어짐에도 강해서 대면적화에 유리하다.
앞서 지난해 5월 인텔은 유리 기판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인텔은 국내 일부 반도체 장비업체와 협업하면서 유리 기판 적용을 위한 준비를 지속하고 있다. SKC를 비롯해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국내 기업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리 기판 생산을 위한 투자에 나섰다.
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유리 기판이 최근 주목받는 이유는 인공지능(AI)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AI 데이터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2030년에는 유기 소재 기판이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르면 2026년부터는 인텔, 엔비디아, AMD 등 고성능 컴퓨팅(HPC) 업체들이 유리 기판을 채용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YD 전기차에 딥시크 적용… 동선·주행 정보 유출 불안감
- 840억 세금 들어간 ‘전통시장 고객센터’… 손님엔 문 닫고 상인회가 차지해
- 지난해 총매출 1% 증가 그친 냉동만두 시장... 2위 경쟁은 치열
- “성인에게 유익한 간헐적 단식, 청소년에겐 악영향…혈당 조절 능력 악화”
- [세종풍향계] 이창용式 한은-산업부·국토부 인사 교류, 소통·전문성 교환 창구됐다… “1년 연
- [시승기] 넉넉하고 듬직한 대형 전기 SUV… 현대차 ‘아이오닉 9′
- 워런 버핏 '버크셔', 애플 주식 판매 멈췄다…S&P 500 추종 펀드 전량 매도
- [세계 속 K컬처]④韓서 사라져가는 ‘기사식당’을 뉴욕서 선보인 ‘Kisa’
- [연금의 고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5%로 오르면 추납 미뤄야 연금 10% 더 받아
- [실손 대백과] 도수치료 보험금 받으려면… 엑스레이 등 추가검사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