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새마을금고 '비상'…431곳 적자 났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총자산 287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가 휘청이고 있다.
전국 새마을금고 1288곳 가운데 적자에 빠진 금고가 1년 만에 열 배가량 불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를 중심으로 지난해 말 2조원 넘게 부실 채권을 털어냈지만 연체율이 10%를 넘어선 금고가 80곳에 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곳 중 1곳 지난해 순손실
'깜깜이 대출'로 부실 위험
총자산 287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가 휘청이고 있다. 전국 새마을금고 1288곳 가운데 적자에 빠진 금고가 1년 만에 열 배가량 불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를 중심으로 지난해 말 2조원 넘게 부실 채권을 털어냈지만 연체율이 10%를 넘어선 금고가 80곳에 달했다.
3일 한국경제신문이 지역 새마을금고 1288곳의 지난해 경영공시를 전수 조사한 결과 연간 당기순손실을 낸 금고는 431곳이었다. 금고 세 곳 중 한 곳이 적자를 냈다는 의미다. ‘적자 금고’ 수는 2022년 45곳에서 1년 만에 열 배 가까이 급증했다.
당장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해 건전성이 악화한 금고도 크게 늘었다.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이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8% 이상인 금고는 2022년 53곳에서 지난해 212곳으로 네 배 가까이 늘었다. 올 들어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전체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작년 말 5.07%에서 지난달 말 7%대까지 올라간 것으로 전해졌다.
새마을금고 각 지점은 사실상 독립된 법인이어서 특정 금고에서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곳으로 전이되지 않는다. 하지만 수십 개 금고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부실이 터져 나오면서 ‘깡통 금고’가 쏟아지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마을금고의 가장 큰 문제는 이사장 중심의 지배구조에서 비롯된 ‘깜깜이’ 대출”이라며 “부실이 발생해도 대출 만기를 연장하거나 이자를 탕감하는 식으로 억누르는 사례가 많다”고 꼬집었다.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는 오는 8일부터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함께 대형 금고 4곳의 첫 현장검사에 나선다. 금감원은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새마을금고 ‘편법대출’ 의혹과 관련해서도 전날 검사에 들어갔다.
서형교/조미현/오유림 기자 seogy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래서 일본 가나 봐요"…제주 가족여행에 500만원 '화들짝'
- "어린이날 선물로 딱이네"…'초부유층 전담' PB가 점찍은 주식
- "혼자는 10평에 살라고?" 불만 폭주…국민청원 4만명 '눈앞' [심형석의 부동산정석]
- 백종원, '4만원 바비큐' 논란에…'특단의 조치'
- "구내식당인 줄"…점심에 직장인들 몰려든 곳
- '불법촬영 논란' 배우 이서한 "연출된 상황"
- "BTS도 군 복무 열심히 하는데…" 병무청장 폭탄 발언
- '기부천사' 박보영, 5000만원 전달한 곳이
- "전지현도 운동 마니아였어?"…'안다르' 레깅스 모델 됐다
- 중국산 먹거리에서 또…'이 과자' 먹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