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목소리의 ‘의미심장한’ 실체[서광원의 자연과 삶]〈87〉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앙아메리카 밀림에는 아주 대단한 개구리가 산다.
어른 새끼손가락의 절반 정도인 3cm쯤밖에 안 되는데도 엄청난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시끄러운 공장 안의 소리가 90dB(데시벨)인데 이 작은 녀석들이 이걸 보통으로 낸다.
가장 큰 소리를 내는 이들의 고환이 겨우 4㎠ 밖에 안 되는 반면, 가장 작은 소리 주인공들의 그것은 22㎠로 가장 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진화시킨 게 목청껏 외치는 구애법이다. ‘이 정도로 건강한 내가 여기 있으니 빨리 이리로 오라’는 거다. 워낙 빽빽한 밀림이라 웬만큼 해서는 존재감을 알릴 수도 없거니와 경쟁자들도 한둘이 아니니 대충 질러서 되겠는가. 덩치를 감안하면 사자들이 내는 포효의 두 배 반이나 된다니 대단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이 밀림에는 한 목청 하는 녀석들이 또 있다. 이곳을 비롯해 남미 밀림까지 서식하는 고함원숭이들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울창한 숲을 몇 km나 뚫고 나가는 고함을 질러 대는 통에 한 번 들으면 절대로 잊히지 않는다는 절대 고음의 소유자들이다. 이들 역시 같은 이유로 잊을 수 없는 목소리를 내는데, 비결은 목의 설골(舌骨). 설골이 클수록 더 큰 소리를 낸다. 예를 들어 이들 중 가장 작은 소리를 내는 황금망토고함원숭이는 설골이 8㎠인데, 가장 큰 소리를 내는 베네수엘라붉은고함원숭이들의 설골은 무려 65㎠ 나 된다.
재미있는 건, 이 소리가 신체의 어떤 부분과 묘한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생물인류학자인 레슬리 냅에 따르면, 가장 큰 설골을 가진 녀석들은 고함원숭이들 중 가장 작은 고환을 가졌고, 가장 작은 소리를 내는 이들은 반대다. 가장 큰 소리를 내는 이들의 고환이 겨우 4㎠ 밖에 안 되는 반면, 가장 작은 소리 주인공들의 그것은 22㎠로 가장 크다. 묘하게도 고함과 고환의 크기가 완전 반비례다. 왜 이런 관계가 생겼을까?
고환이 작으면 생산하는 정자 수가 적을 수밖에 없는데 이 부족함을 큰 소리로 보완한다는 게 냅의 생각이다. 그의 표현대로 하자면 ‘실질적인 균형(trade-off)’을 위한 현실적인 대응법이다.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이 크고 멋진 차로 그걸 보완하려고 하는 것처럼 말이다.
선거 날이 다가오면서 큰 목소리들이 거리를 누비고 있다. 점점 커지는 이 큰 소리들이 무언가 부족한 걸 숨기기 위한 게 아니었으면 좋겠다.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부 “의대 교수도 집단 사직땐 진료유지명령 검토”
- 與 하남갑 ‘尹호위무사’ 이용 승리, 추미애와 대결…이혜훈, 하태경 꺾어
- 민주당 선대위 출범, 이재명-이해찬-김부겸 ‘3톱’ 체제
- 與선대위, 한동훈 ‘원톱’에 윤재옥·나경원·원희룡·안철수 공동위원장 체제
- 반미 단체 출신 전지예, 野 비례 후보 자진 사퇴
- 전세사기 피해 1년, 끝나지 않는 고통
- 아무런 전조 증상 없이 갑작스럽게 빙빙~ 도는 것 같아
- 尹, 종교지도자들 만나 “민생-의료개혁에 힘 모아달라”
- MB “광우병은 날 흔들려던 것…못하니 다음 대통령 끌어내려”
- 조국 “22대 국회서 ‘한동훈 특검법’ 발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