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기완의 자취 밟아가며… 사회의 연민·공감 말하고 싶었죠”
벨기에 떠도는 탈북청년 기사 본 김작가
그의 일기 구해 행적들 좇아가보는데…
최근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으로 화제
13년 만에 리마스터판으로 다시 출간
“영화 봤죠… 수많은 사람들 노고 보여요”
“앞으로도 사회적 이야기 외면하지 않고
쓸 수 있는 한 지치지 않는 작가 되고파”
일주일이 넘는 크리스마스 휴가에는 어디를 가볼까. 가을 학기부터 폴란드의 한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쳐 온 그는, 이번 휴가 때에 다른 유럽국을 다녀와야겠다고 생각하고 여행 정보를 찾고 있었다. 한국어 강사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보고 지원해 1년간 한국어를 가르치기로 한 그였다.
통신원을 만났지만, 기사 속에 담겨 있던 탈북 청년은 끝내 만나지 못했다. 비행기를 타고 벨기에에 입국한 그는 난민 지위를 받은 다음에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그나마 그의 자술서를 볼 수 있었고, 난민 지위를 취득하는 것을 돕던 여러 조력자를 만날 수 있었다. 청년의 흔적을 찾아서 브뤼셀 북역에 위치한 쇼핑가 뒤편의 낡은 호스텔의 한 방문을 연 순간, 문득 소설을 쓰고 싶어졌다. 누추하고 쓸쓸하고 추웠던 그 방….
“저도 처음에는 이해가 안 됐어요. 어렵게 난민 지위를 받았을 텐데, 왜 떠났는지. 나이가 드니까 이해가 되더라고요. 먹고사는 문제만 해결된다고 해서 행복한 건 아니잖아요. 거기에서 계속 불안했을 것이고. 저는 난민 지위를 얻는 과정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됐어요. 소설을 안 썼다면 몰랐을 세계인데, 난민에 대한 정의나 난민협약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죠.”
소설가 조해진은 최근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로기완’(감독 김희진)이 공개되면서 10여년 만에 다시 화제가 된 자신의 장편소설 ‘로기완을 만났다’(창비)에 대해 “사람들이 출간 당시부터 이미 베스트셀러였다고 알고 있지만, 전혀 아니었다”고 웃었다. 2013년 신동엽문학상을 수상한 소설은 영화화로 다시 붐을 맞아서 13년 만에 리마스터판으로 돌아왔다.
영화 ‘로기완’이 탈북 청년 기완과 그의 돈을 훔친 여성 마리의 로맨스라면, 장편소설 ‘로기완을 만났다’는 기완의 행적을 좇는 김 작가의 이야기다. 불우한 이웃들의 사연을 담는 다큐작가인 김 작가는, 부모를 여의고 힘겹게 살아가는 여고생 윤주를 도와주려다가 오히려 절망에 빠뜨리자 죄책감으로 윤주에게 등을 돌린다. 이때 우연히 읽게 된 잡지에서 탈북자 로기완의 이야기를 접하고 무작정 벨기에로 떠난다.
“이니셜 L은 이제 더 이상 새로운 세상으로 나를 이끌어주는 암호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건, 내가 내 인생 속으로 더 깊이 발을 들여놓도록 인도하는 마법의 주문에 가까웠다. 익숙한 화면이 오버랩된다.”
탄탄한 작품성을 입증해 온 젊은 작가 조해진이 천착한 탈북 청년 로기완의 마음과, 타인에 대한 사려 깊은 연민과 공감의 방식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작가적 여로는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조 작가를 지난달 28일 전화로 만났다.
―소설은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부터 허구인가.
“실제로 로기완을 만나지도 못했고, 그를 취재한 통신원을 통해 그의 이야기를 전해 들었을 뿐이다. 당시 이십 대 청년으로, 벨기에 경찰에 의해 고아원으로 보내진 것까지는 소설과 동일하다. 하지만 로기완이 라이카와 영국으로 이주해 함께 사는 것을 비롯해 로기완의 이후 행적은 모두 허구다. 제가 여행을 하면서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는 사람이 이 거리를 다녔다면 어땠을까 하고 상상했다.”
―김 작가는 윤주 문제로 고민하다가 로기완을 만나러 훌쩍 벨기에에 오게 된다.
“연민의 방식을 놓고 재이나 김 작가의 생각 모두 부분적으로 맞다고 생각한다. 다만 김 작가는 윤주 사건을 계기로 로기완의 행적을 찾아가면서 공감이나 연민에 이르는 과정 자체가 중요할 수 있겠구나, 그것이 최종적으로 우리가 사랑하는 이유가 되는구나라는 걸 배워가는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소설과 관련해 혹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여러 번 봤다. 영화와 소설의 화법이 다르다는 것과 영화를 위해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가 들어갔다는 걸 알기에 지금은 어떤 말도 조심스럽다. 다만, 로기완을 성실하고 품위 있는 인물로 쓰고 싶었는데 영화에도 그것이 반영돼 있더라. 13년 동안 이 소설을 포기하지 않았던 용필름 임승용 대표에 감사하다고 꼭 말하고 싶다.”
1976년 서울에서 나고 자란 조해진은 2004년 중편소설 ‘여자에게 길을 묻다’를 ‘문예중앙’에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등단 이후 장편소설 ‘한없이 멋진 꿈에’, ‘로기완을 만났다’, ‘아무도 보지 못한 숲’, ‘여름을 지나가다’, ‘단순한 진심’ 등을, 소설집 ‘천사들의 도시’, ‘목요일에 만나요’, ‘빛의 호위’ 등을 발표했다. 신동엽문학상, 젊은작가상, 이효석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받았다.
―앞으로 어떤 작가가 되고 싶은지.
“일단 꾸준히 쓰고 쓸 수 있는 데까지 지치지 않는 작가가 되는 것, 지금은 그게 전부다.(롤 모델이 있는지) 사회적인 이야기를 외면하지 않는 작가를 좋아한다. 외국 작가로는 ‘숨그네’를 쓴 독일 작가 헤르타 뮐러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쓴 벨라루스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등을 좋아한다.”
소설가 조해진은 물기를 머금은 듯한 목소리로 수화기 너머에서 밀려오는 궁금증을 하나씩 조곤조곤 채워 나갔다. 아마 이날 기자의 질문은 연민의 방식에서 자주 맴돌았을 것이다. “연민이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어떻게 만들어져서 어떻게 진보하다가 어떤 방식으로 소멸되는 것인가.”
몇 해 전부터 서울의 집에서 전업작가로 글만 쓰고 있다는 그는, 아마도 도시가 불온한 어둠으로 포위될 때면 사람들의 마음을 찾아 나설 것이다. 그리하여 낭떠러지 같은 경계의 끝자락에서 자주 서성이고, 드넓은 광장에서 외로움에 고개 숙이며, 뒷골목에서 처절한 실패로 눈물 흘리는 이들에게 연민과 공감, 연대의 모스부호를 보낼지도 모른다. 힘겹게 그러나 쉬지 않고, 마치 먼 우주로 교신하듯, 천국의 문을 노크하듯. Knock, knock, knockin’ on heaven’s door(녹, 녹, 노킹 온 헤븐스 도어)….
“미안하다는 무책임한 말이 아니라, 우리를 막는 것은 없으니 우리는 언제까지고 포기하지 않아야 하며 반드시 만나야 한다는 절대적인 말, 그런 솔직함. 그건 내가 원했던 이상적인 대화인지도 모르겠다.”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