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뷰] 외국인의 삼성전자 편애… 하루 만에 1조원 담았다

권오은 기자 2024. 4. 2. 16: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이 주가를 좌우하는 장세가 이어졌다.

외국인이 몰린 삼성전자 주가는 우상향 곡선을 그렸고, 3년 만에 시가총액 500조원을 넘어섰다.

외국인은 사실상 삼성전자만 골라 담았다.

외국인은 이날 삼성전자를 1조20억원, 삼성전자우를 730억원 사들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3년 만에 시가총액 500조원 돌파
코스닥, 제약·바이오 부진 속 900선 내줘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이 주가를 좌우하는 장세가 이어졌다. 외국인이 몰린 삼성전자 주가는 우상향 곡선을 그렸고, 3년 만에 시가총액 500조원을 넘어섰다. 덕분에 코스피지수도 2750선을 지킬 수 있었다.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세에 밀린 코스닥지수는 9거래일 만에 900선이 무너졌다.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7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6281억원, 3481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외국인은 사실상 삼성전자만 골라 담았다. 외국인은 이날 삼성전자를 1조20억원, 삼성전자우를 730억원 사들였다.

4월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 삼성전자 종가가 전 거래일 대비 3.66% 오른 8만5000원으로 표시돼 있다. /뉴스1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집중 매수한 건 업황 개선 기대감 때문이다. 데이터센터와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가격이 올해 1분기 오름세를 보였다. 인공지능(AI) 열풍 속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업황에 긍정적인 신호도 계속됐다.

삼성전자는 이날 종가 기준 8만5000원까지 오르면서 1년 내 최고가(52주 최고가)를 새로 썼다. SK하이닉스도 18만63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두 종목의 오름세에 힘입어 코스피지수는 2753.16으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보다 5.3포인트(0.19%) 오른 수준이다. 원·달러 환율과 미국 국채 금리도 장 중 다소 진정세를 보이면서 외국인 수급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외국인의 편애가 두드러진 탓에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선 주가가 약세인 종목(667개)이 상승 종목(222개)보다 3배가량 많았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대부분 내림세를 보였다. 중국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의 약진 속에서 LG에너지솔루션, POSCO홀딩스, 삼성SDI 등 이차전지 관련 종목이 힘을 못 썼다. 수출 실적이 악화한 현대차와 기아 역시 전날보다 주가가 3% 넘게 하락했다.

그나마 금융당국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해 우수 기업에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하면서 NH투자증권 등 일부 증권주와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등의 보험주가 기지개를 켰다. 중국 경기가 살아난다는 소식에 화장품과 소매업종도 오름세를 나타냈다.

4월 2일 오후 서울 명동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닥지수 종가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외국인과 기관 모두 ‘팔자’에 나선 코스닥지수는 900선을 내줬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0.86포인트(2.29%) 하락한 891.59로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2385억원, 2286억원 순매도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만 4815억원 순매수했다.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제약·바이오 업종이 특히 부진했다. 알테오젠은 8% 넘게 내렸고, 삼천당제약은 18% 가까이 급락했다. HLB, 셀트리온제약도 약세였다. 엔켐은 6%대 상승률을 보였고, 반도체 관련 종목인 HPSP와 리노공업도 오름세로 마감했다.

증권사들은 오는 5일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실적 장세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실적 확인 후 수급 상황 변화를 확인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