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기업 투자로 생태계 확장…반도체·통신주 수혜"

이용성 2024. 4. 2. 0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업이 데이터센터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등 AI 생태계가 급격하게 팽창하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과 AI 데이터센터 사업자의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MS)는 오픈AI와 AI 전용 데이터센터에 향후 6년간 1000억 달러(약 135조원) 투자를 집행하는 스타게이트 (Stargat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업이 데이터센터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등 AI 생태계가 급격하게 팽창하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과 AI 데이터센터 사업자의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KB증권)
2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MS)는 오픈AI와 AI 전용 데이터센터에 향후 6년간 1000억 달러(약 135조원) 투자를 집행하는 스타게이트 (Stargat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아마웹서비스(AWS)의 아마존 역시 향후 15년간 데이터센터에 1500억 달러 (202조원) 투자를 집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번 투자의 목적의 경우 MS는 슈퍼 컴퓨터 중심의 AI 전용 데이터센터 신규 구축에 집중하고, 아마존은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1위 수성을 위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데이터센터 확장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다. 이처럼 투자 규모가 일반 데이터센터 대비 100배를 상회하는 이유는 AI 반도체 조달 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라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릐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전체 프로젝트 투자금액 중 절반 정도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에 집행되고, 나머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따라서 GPU, 신경망처리장치(NPU), 고대역폭메모리(HBM), 디램(DRAM)종류에 상관없이 AI 반도체 시장이 동시 급성장한다는 AI 반도체 흑묘백묘론의 설득력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AI 구동에 있어 충분한 AI 반도체를 보유하지 못했고, 앞으로 AI 반도체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될 것이라고 수차례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한국 지역에 대한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가 핵심인 아마존 AWS의 1500억 달러 데이터센터 투자의 경우 기존 데이터센터 확장 전략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2027년까지 58억 달러 (약 8조원)의 투자 집행을 공식화한 AWS의 국내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 규모 및 기간 등을 종합하면 국내 통신사와 협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되어 통신 사업자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MS와 AWS의 337조원 투자는 데이터센터 확보를 통한 AI 점유율 확보 경쟁의 신호탄”이라며 “특히 빅테크 클라우드의 투자 핵심은 충분한 연산자원 확보가 최대 과제고, AI 클라우드를 운영할 데이터센터 사업자 확대도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AI 반도체인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이수페타시스(007660) 가온칩스(399720)와 AI 데이터센터 사업자 SK텔레콤(017670), KT(030200), LG유플러스(032640)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용성 (utilit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