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길래 샀는데 눈앞이 캄캄”...부랴부랴 돈 빼는 개미들, 대체 무슨 일

김태성 기자(kts@mk.co.kr) 2024. 4. 1. 21: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조 넘보던 중국펀드 설정액
지난달말 6조 8875억으로 ‘뚝’
부동산 부실에 경기회복 더뎌
개인투자자, 투자금 회수 나서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의 시황판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 = 연합뉴스]
올해 중국 경제가 바닥을 찍었다는 판단에 저점매수를 노리고 중국펀드에 몰렸던 자금이 최근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멈추면서 다시 빠져나가고 있다.

중국 경기의 약한 고리인 부동산 투자 부진이 계속되고 향후 경기전망 역시 어둡기 때문이다.

1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초부터 꾸준히 증가하던 중국펀드 186개의 총 설정액은 3월초 고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1월말 6조8349억원이던 설정액은 2월말 6조9390억원으로 한달해 1000억원 넘게 늘었고 이후 3월8일 6조9596억원으로 7조원에 육박할 만큼 커졌다. 그러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며 같은달 15일 6조9149억원을 거쳐 지난달 말에는 6조8875억원으로 축소됐다.

실제 KB중국본토A주증권자투자신탁이 한달새 35억원, 신한중국의꿈증권자투자신탁 2(H)은 같은 기간 34억원 감소하는 등 개별 펀드 설정액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펀드 전체 순자산도 다시 내리막을 타고 있다. 작년말 5조3391억원이던 중국펀드 순자산은 중국 증시가 하향곡선을 그린 탓에 1월말 5조1304억원으로 급감했다.

이후 이어진 중국 정부의 강력한 주가 부양책 영향으로 3월15일 5조6126억원까지 회복됐다. 하지만 지난달 말 기준으로 다시 5조4167억원으로 다시 연초 수준까지 쪼그라들고 있다.

올들어 계속 마이너스를 이어가다 지난달 중순(3월18일 2.11%) 플러스로 돌아섰던 연초대비 중국펀드 수익률도 지난달 말 -1.03%으로 다시 손실 범위에 진입했다.

[매경DB]
중국 경기와 증시 향방을 좌우하는 부동산 관련 업황의 회복이 좀처럼 이뤄지지 않자 최근 저점매수에 집중했던 개인투자자들이 반등의 기대감을 접으며 투자금을 빼고 있는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중국 정부가 부동산 개발사에 대한 차별없는 금융지원과 함께 저가형 임대주택·이주민 주거지구 개조·평급양용(평상시와 긴급시 두가지 용도로 사용)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이라는 3대 공정에 최소 1조위안(약 186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부동산 산업 개선에 힘을 쏟고 있지만, 이같은 공급계획을 받쳐줄 수요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잇따른다.

김시청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출우대금리(LPR) 5년물 금리 인하와 주택거래 규제 완화에도 주택 수요 부진은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신규주택 판매 부진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현상이며 이는 중장기적으로 관련 부동산 개발사의 현금흐름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경제 반등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 지난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투자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것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양회에서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올해 작년과 동일한 ‘5% 안팎’의 경제 성장률 목표를 제시하면서도 중국 경제가 직면한 심각한 도전 과제를 타개할 세부적인 방안을 충분히 내놓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양회에서 부양책 확대보다 과학기술 투자와 첨단산업 육성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구축하겠다는 방안을 밝힌 것이 향후 경제성장 및 경기 회복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 중국 경기 후퇴를 이끈 부동산 불안 사태를 잠재우기 위해 국영기업 중심으로 시장구조를 재편하고 있는데, 이것이 결국 부양책 효과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서다.

김현성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양회에서 밝힌) 국영기업 중심 경제로의 회귀는 새로운 성장 모델의 한계로 작용할 것”이라며 “공동부유 제창 이후 국영기업의 민영기업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면서 자본 유출이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국영기업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설비 과잉이 재차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은 생산성 측면에서 부정적일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