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빼놓는 ‘고사리의 유혹’…채취 땐 내 위치 확인을

박미라 기자 2024. 4. 1. 21: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 길 잃음 사고 중 41.4%
조난 시 119 신고 후 대기를

지난달 31일 오전 9시32분쯤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에서 60대 여성 A씨가 실종됐다는 신고가 119에 접수됐다. 구조대원은 119구조견 강호와 함께 출동해 현장에 도착한 지 약 30분 만에 A씨를 발견했다. 앞서 같은 달 29일에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에서 50대 남성 B씨와 70대 남성 C씨가 길을 잃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구조대원과 구조견은 수색 40여분만에 실종자를 찾았다. 두 사고 모두 고사리를 꺾다가 발생한 것이다.

제주도소방안전본부는 봄을 맞아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고사리 채취객이 증가함에 따라 지난달 29일부터 길 잃음 안전사고주의보를 발령했다고 1일 밝혔다. 또 고사리철 길 잃음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동부지역과 고사리 채취객이 몰리는 시간대에 119구조견을 전진 배치했다.

도소방안전본부 집계 결과 최근 5년간(2019~2023년) 지역 내 길 잃음 안전사고는 총 459건으로 연평균 91건 이상 발생했다. 인명피해는 사망 1명과 부상 19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사리 채취 도중에 길을 잃는 사고가 전체의 41.4%(190건)를 차지했다. 등산·오름 탐방 중 길 잃음 32.7%(150건), 올레길·둘레길 탐방 중 길 잃음 25.9%(119건) 순이었다. 계절로는 3~5월에 길 잃음 사고의 절반(58.6%)이 몰렸다.

지역별로는 동부지역에서, 시간대는 오전 10시~오후 2시에 사고의 절반 이상이 발생했다.

고사리를 꺾다가 자주 길을 잃는 것은 고사리가 주로 오름과 곶자왈, 들판 등 중산간지역(해발 200~600m)에 분포하기 때문이다. 채취객들이 고사리를 찾기 위해 바닥만 보면서 들판과 숲을 누비다 보면 본인도 모르게 길을 잃는 것이다. 들판·숲이다 보니 특정 건물과 같은 기준점이나 이정표도 없어 길을 잃기 쉽다.

제주 고사리는 크고 굵으면서도 연하고 부드러워 품질이 매우 좋다. 매년 3~4월이 ‘고사리철’로 불린다. 비 온 뒤 더욱 잘 자라는 고사리 특성을 따 ‘고사리 장마’라는 말도 있다.

도소방안전본부는 고사리 채취객이 몰리는 지역을 중심으로 길 잃음 대처키트 보관함을 설치했다. 길 잃음 대처키트는 길을 잃었을 때 대처 방법을 적은 리플릿과 호루라기, 담요, 포도당 캔디, 야광봉 등으로 구성돼 있다.

도소방안전본부는 고사리 채취객에게 미리 카카오맵을 설치해 동행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권유하고 있다. 고민자 소방안전본부장은 “길을 잃었을 때는 국가지점번호 등을 활용해 119 신고 후 이동하지 말고 구조될 때까지 기다려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