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태석의 빛으로 쓴 편지] 유연함·강인함을 갖춘 버드나무

왕태석 2024. 4. 1. 0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의도 샛강공원은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여의도 빌딩 사이로 아침 해가 솟아오르자 새벽어둠 속에서 깨어난 버드나무 가지에선 연초록 새싹들이 빛을 내뿜는다.

버드나무 숲 사이로 흐르는 샛강에는 왜가리 한 마리가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선조들은 잘 휘어지고 복원이 빠른 버드나무의 유연성에서 역경을 이겨내는 강한 생명력을 배우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봄을 맞아 여의도 샛강공원은 버드나무가 연록의 숲을 이루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여의도 샛강공원은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긴긴 겨울엔 가지들이 잎을 떨구고 ‘산발’로 지냈지만 지금은 그 가지에서 새싹이 돋아나고 있다. 살랑살랑 바람이 불어오면 가지들이 연초록색 파도를 일으킨다. 여의도 빌딩 사이로 아침 해가 솟아오르자 새벽어둠 속에서 깨어난 버드나무 가지에선 연초록 새싹들이 빛을 내뿜는다. 얼마 후면 풍성한 녹색 물결로 바뀔 테지만 버드나무는 요즘 빛깔이 일 년 중 가장 예쁘다.

버드나무 숲 사이로 흐르는 샛강에는 왜가리 한 마리가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공원이 내려다보이는 다리 위로 가보았다. 버드나무 숲 사이로 흐르는 샛강에는 왜가리 한 마리가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언제부터 서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일출과 함께 봄 풍경이 오고 있다는 사실도 잊은 듯 오직 먹잇감에만 신경을 쓰고 있었다. 그 모습을 보노라니 계절의 변화를 느낄 틈도 없이 삶터에서 일에만 몰두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겹쳐졌다. 그 순간 얼굴을 스치는 봄바람이 푸릇푸릇한 향과 함께 실려와 코를 간지럽힌다.

버드나무 숲 사이로 흐르는 샛강에는 왜가리 한 마리가 지나고 있다.

예로부터 강 옆에는 버드나무가 많이 자란다. 이 나무가 홍수와 가뭄 등 척박한 환경에서도 무럭무럭 크기 때문이다. 선조들은 잘 휘어지고 복원이 빠른 버드나무의 유연성에서 역경을 이겨내는 강한 생명력을 배우기도 했다. 거친 비바람에도 유연함으로 꺾이지 않고 살아남는 버드나무. 우리도 삶에 직면한 힘겨운 상황을 외면하지 말고, 버드나무처럼 유연하고 강인하게 맞서서 극복해 보는 것은 어떨까.

버드나무 숲 사이로 흐르는 샛강에는 왜가리 한 마리가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왕태석 선임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