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데님 바지를 파란색으로 염색하는 이유

신연수 2024. 3. 29. 1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패션 디자이너 출신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옷을 입다 패션을 만들다> 저자 정연이는 수업 시간에 이런 질문을 받았다.

청바지가 광부의 작업복으로 사용된 데님 원단에서 출발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것을 왜 파란색 염료로 물들였는지는 굳이 궁금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청바지를 비롯해 줄무늬 티셔츠, 검은색 미니드레스, 밀리터리룩 등 일상적으로 자리잡은 패션의 역사에 대해 저자가 공부한 결과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다, 패션을 만들다
정연이 지음 / 에코리브르
288쪽|1만9500원

“청바지는 왜 하필 블루인가요?”

패션 디자이너 출신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옷을 입다 패션을 만들다> 저자 정연이는 수업 시간에 이런 질문을 받았다. 청바지가 광부의 작업복으로 사용된 데님 원단에서 출발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것을 왜 파란색 염료로 물들였는지는 굳이 궁금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청바지를 비롯해 줄무늬 티셔츠, 검은색 미니드레스, 밀리터리룩 등 일상적으로 자리잡은 패션의 역사에 대해 저자가 공부한 결과물이다. 청바지의 ‘블루’가 인기를 끈 건 1774년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출간되고부터다. 소설이 흥행하자 베르테르가 입은 것으로 묘사된 파란색 프록코트도 젊은이들 사이에서 대유행했다. 여성들은 베르테르가 사랑한 샤를로테처럼 파랑과 하양이 섞인 드레스를 입었다. 여기에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파란색은 자유라는 상징을 획득했다. 청색은 곧 시민들이 사랑하는 색깔이 됐다.

파란색은 긍정적인 상징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실용적으로도 청바지에 적합한 색이다. 데님 원단은 너무 두꺼워 완벽하게 염색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입을수록 색이 바래는 현상이 발생했다. 물 빠진 파란색은 자연스럽고 검소한 이미지를 준다. 청바지는 그렇게 노동자를 대변하는 패션이 됐고, 이어 제임스 딘 등 미국 할리우드 스타들을 통해 젊음의 상징으로 거듭났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