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열풍'에 美 증시 강세…세계 증시 1분기 5년 만에 최고

김종윤 기자 2024. 3. 29. 10:3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시총, 1분기 1조달러 넘어...비트코인·금 가격도 고공행진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인공지능(AI) 열풍에 따른 미국 증시 강세장의 온기가 주요국에 확산하면서 올해 1분기 세계 증시도 5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현지시간 28일 보도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영국·독일 등 서방 주요국 증시가 29일 부활절을 맞아 휴장하면서 1분기 주식 거래가 끝난 가운데,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세계주식지수(ACWI)는 1분기에 7.7% 올라 2019년 1분기(+11.61%)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또 1분기 채권 대비 주식 수익률은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세계 증시 강세장은 미국이 주도했습니다.

미 주요 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1분기 동안 종가 기준 22번 신고가를 경신하며 10.16% 상승했는데, 이는 역시 2019년 (+13.07%) 이후 5년 만에 최고 상승률입니다.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9.11%)과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5.62%)도 강세였습니다.

대표적 AI 수혜주 엔비디아 주가는 1분기 80% 넘게 상승하면서 시가총액이 1조 달러, 약 1천347조원 이상 늘어났는데, 이는 1분기 세계 주식 시총 증가액의 5분의 1에 해당합니다.

증시 강세장은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당초 시장 예상보다 느려질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 연착륙과 AI에 따른 산업 발전 기대가 커진 덕분이라는 평가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최근 펀드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향후 12개월 이내에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3분의 2가량이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초만 해도 10%를 살짝 상회하는 수준이었습니다.

1분기 유로 스톡스600 지수를 비롯해 독일 DAX 지수(+10.39%)와 프랑스 CAC40 지수(+8.78%) 등 유럽 주요 지수도 고점을 새로 쓰며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3월에는 독일·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 지수 상승률이 S&P 500을 앞서기도 했습니다.

일본 증시 상승세도 두드러지며,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1분기에 1989년 버블(거품) 경제 당시 고점을 상회한 것은 물론 사상 처음 40,000선을 뛰어넘은 상태로, 닛케이지수의 1분기 상승률은 28일까지 20%에 이릅니다.

롬바르드 오디에 자산운용 플로리안 옐포는 "증시가 매우 열광하고 있으며 전면적인 랠리를 받아들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증시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들어 60% 넘게 상승하며 신고가를 새로 썼으며, 비트코인 시총은 약 150개국의 국내총생산(GDP) 수준보다 많은 상태입니다.

금 가격도 온스당 사상 처음으로 2천200달러를 넘어섰으며, 29일에도 2,231.83달러로 신고가를 갈아치웠습니다.

다만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7'으로 불리는 미국 대형 기술주 가운데 테슬라(-29.25%)와 애플(-10.93%) 등은 경쟁 심화와 중국 시장 둔화 속에 주가 흐름이 부진한 상태입니다.

홍콩 항셍지수는 올해 들어 28일까지 2.97% 하락한 상태로, 범 중국 증시도 상대적으로 소외된 상태입니다.

현재의 강세장에 대해 미국의 닷컴버블과 유사하다는 신중론이 나오지만, 강세장의 중간에 있다는 반박도 나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