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선석생산성 회복세 약해, "서비스경쟁력 강화해야"

조민희 기자 2024. 3. 29. 10: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엔데믹의 영향으로 전 세계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지표가 대체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KMI 항만수요분석연구실 관계자는 "2023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팬데믹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대비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국내 컨테이너 항만의 경우 회복세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어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MI, 2023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 발표
전년 대비 소폭 감소, 경쟁력 확보 노력 지속 필요

코로나 엔데믹의 영향으로 전 세계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지표가 대체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산항은 회복세가 더뎌 서비스 경쟁력 확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신항 전경. 국제신문 DB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서비스 지표를 보여주는 ‘2023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28일 발표했다.

KMI는 국내 컨테이너 항만의 경쟁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2021년 4분기부터 매 분기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간하고 있다.

2023년 전체 선형 기준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64.2회/hr로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선석생산성은 선석 접안시간 당 컨테이너 양적화 횟수를 나타낸 지표로 지표가 높을수록 컨테이너 화물을 빠르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2023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고금리로 인한 수요 둔화 등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팬데믹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북아시아(82.7회/hr, 8.2%↑) 유럽(54.1회/hr, 3.7%↑) 북미동안·걸프(57.2회/hr, 3.1%↑) 지역을 중심으로 선석생산성이 회복세를 나타냈다. 다만 중동·아프리카(59.0회/hr, -5.6%) 남미(50.9회/hr, -2.7%) 지역은 감소세가 지속됐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전체 선형 기준 우리나라는 세계 12위로 73.4회/hr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0.6% 소폭 감소했으며, 순위는 1계단 하락했다. 다만 8000TEU급 이상 기준에서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86.8회/hr를 나타내 3년 연속 순위가 상승하며 15위를 기록했다. 선석생산성 상위 국가로는 오만(112.2회/hr, 1위), UAE(96.0회/hr, 2위) 등 중동 지역 국가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94.9회/hr로 전년 대비 10.4% 증가하면서 1계단 상승한 세계 4위를 기록했다.

항만별 전체 선형 기준 부산항은 74.9회/hr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 광양항(69.1회/hr, 8.1%↑)과 인천항(59.3회/hr, 2.6%↑)은 전년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글로벌 주요 컨테이너 16개 항만 중에서 제벨알리항(94.9회/hr, -3.7%)을 제외한 모든 항만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중국의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칭다오항(113.6회/hr, 18.2%↑) 톈진항(112.4회/hr, 14.3% ↑), 옌톈항(93.2회/hr, 15.6% ↑)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감소율의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팬데믹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중국이 팬데믹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외 뉴욕/뉴저지항(72.5회/hr, 19.0% ↑), 로테르담항(69.8회/hr, 5.8% ↑), 싱가포르항(82.2회/hr, 1.1% ↑), 말레이시아 탄중펠레파스항(89.4회/hr, 5.9% ↑) 등도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KMI 항만수요분석연구실 관계자는 “2023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팬데믹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대비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국내 컨테이너 항만의 경우 회복세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어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