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29일!] "와~" 외국인마다 감탄… 8억명이 다녀간 곳

김가현 기자 2024. 3. 29. 07: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 속 오늘] 인천국제공항 개항
지난 2001년 3월29일 대한민국 중추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했다. 사진은 지난 2020년 인천국제공항 계류장에 국내 항공사 여객기들이 멈춰서 있는 인천국제공항 계류장의 모습. /사진= 뉴스1
2001년 3월29일. 대한민국 중추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문을 열었다. 한반도 최대 규모의 민간 공항이다.

지난해 인천국제공항은 '세계 최고의 공항' 4위를 기록했다. 지난 2022년에는 세계 총화물량 2위, 올해 국제선 발착 여객수 기준 순위는 3위에 랭크된 세계적인 공항이다.

100개월에 걸쳐 완공된 인천국제공항은 개항 22년 만인 지난해 누적 여행객 수 8억명을 돌파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이 되기까지


인천국제공항은 지난해 누적 여행객 수 8억명을 돌파했다. 사진은 지난 2016년 인천국제공항 하루 이용객이 사상 처음 20만명을 넘어서며 개항 15년 만에 누적 여객 5억명을 돌파한 가운데 출국을 기다리는 여행객들로 붐비는 인천국제공항. /사진= 머니투데이
지난 1971년 정부는 김포국제공항의 포화를 예상해 신국제공항건설을 추진했다. 당시 후보지는 수원·오산·군자·남양·평택·이천이었다. 타당성 용역 결과 김포국제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났다. 하지만 올림픽 유치 직전인 지난 1981년 항공 수요 증가로 김포국제공항의 포화가 예상됐다. 이에 10년 만에 수도권 신공항 건설 계획이 재추진됐다.

최종적으로 영종도와 시화지구 2곳이 경합한 끝에 지난 1990년 영종도가 최종 낙점됐다. 영종도는 서울과 상대적으로 가깝고 시화지구보다 매립 예정지 평균 수심이 더 얕아 공사에 유리한 점이 크게 작용했다.

초기에는 지역 이름을 따 '영종도 신공항'이라는 이름을 주로 사용했다. 이후 정식 명칭을 결정할 당시 '세종국제공항' '서울국제공항' '새서울공항' 등 여러 명칭이 거론됐다. 하지만 인천광역시의 반발로 지금의 '인천국제공항'이 됐다.

국내외 승객들이 주로 서울에 가기 위해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만큼 대한민국의 지리와 여건에 어두운 외국인들은 인천과 서울을 헷갈려하면서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잦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에서는 주로 'SEOUL(ICN)'로 표기한다.



알짜 공기업 '인천국제공항' 민영화… 갑론일박 여전


인천국제공항의 민영화에 대한 갑론일박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22년 5월 인천 계양역 광장에서 열린 '공항 철도 전기 수도 민영화 반대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후보 겸 총괄선대위원장. /사진= 뉴스1
인천국제공항의 민영화는 김대중 정부 때부터 추진돼 현재까지도 수면 위로 떠오르는 이슈다. 2000년대 초까지 인천공항은 간신히 적자만 면하는 수준이었다. 이에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는 공약으로 '인천공항 민영화'를 내세웠다.

하지만 이명박 정권이 들어서자 인천국제공항의 경영상황이 급격하게 개선됐다. 이로 인해 흑자를 내는 알짜 공기업을 민영화할 필요가 없다는 여론에 이명박 정권의 인천공항 민영화 정책은 힘을 잃었다.

인천공항 민영화를 놓고 여전히 갑론일박이 한창이다. 지난 2022년 6월 당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의원은 "공항·철도 등의 민영화를 반대한다"고 언급했다. 또 현재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 '공공기관 효율화'가 포함된 것이 인천공항의 지분 매각 또는 민영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꿈의 직장' 인천국제공항… 그 이면은?


인천공항 개항 이후 정규직, 비정규직 노조를 통틀어 처음으로 파업에 돌입한 노조는 고용 안정 보장·임금 인상과 착취 구조 개선·교대제 개편 및 인력 충원·노조 활동 보장·정규직화를 위한 대화 등을 요구했다. 사진은 지난 2013년 파업에 나선 노조의 모습. /사진= 뉴스1
인천국제공항을 운영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꿈의 직장'으로 꼽힌다. 공기업 중에서도 높은 수준의 봉급, 공항이라는 매력적인 시설에서의 근무, 높은 전문성 등이 그 이유다. 따라서 입사 경쟁률이 치열하다.

하지만 인천공항 하청업체의 이야기는 다르다. 청소·보안검색·시설관리 등의 업무는 모두 하청업체가 맡는다. 비정규직인 이들은 보장된 휴가와 급여 인상을 주장하며 지난 2013년 파업을 시작했다. 이후 공사 측에서 협력업체를 통한 처우개선을 약속해 19일만에 파업은 철회됐다.

지난 2017년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직후 첫 일정으로 인천공항을 찾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약속했다. 이후 인천국제공항 운영인력의 약 90%를 차지하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자회사 소속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이로 인해 문재인 정부 5년동안 10만명이 넘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직원이 정규직으로 신분이 바뀌었다.

하지만 이는 '인국공 사태'를 촉발했다. 이는 정부가 비정규직인 인천공항공사 협력업체 보안검색원 19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기존 정규직이던 공사 직원들과 취업 청년층이 집단 반발한 사건이다.

또 인천국제공항사는 비정규직을 직접 고용하지 않고 자회사를 설립해 그 자회사에 간접 고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당시 문 대통령이 천명한 '비정규직 제로' 약속이 반쪽짜리에 그쳤다는 지적으로 이어졌다.

김가현 기자 rkdkgudjs@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