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백두산' 지우기 일사천리..'창바이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

김소연 기자 2024. 3. 28. 1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족의 영산(靈山), 백두산이 중국 이름 '창바이산(長白山)'으로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됐다.

28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전날 유네스코 집행위원회는 창바이산(한국명 백두산) 등 18개 후보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2020년 중국 영토에 속하는 백두산 지역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해달라고 유네스코에 신청했다.

이번 등재로 중국의 백두산 지우기가 본격화할지 우려가 커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찍은 백두산의 사계절 모습이 담긴 사진/사진=평양 노동신문,뉴스1)

민족의 영산(靈山), 백두산이 중국 이름 '창바이산(長白山)'으로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됐다. 백두산에서 한국 흔적 지우기에 나선 중국의 작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다.

28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전날 유네스코 집행위원회는 창바이산(한국명 백두산) 등 18개 후보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

지난해 9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이사회에서 이미 등재가 권고돼 이번 집행이사회 인증이 사실상 예고된 상황이었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총 48개국에 213개가 인증돼 있다.

신화통신은 창바이산 지질공원에 대해 "중국 북동부 지린성에 있는 곳으로 여러 차례 화산 폭발이 만든 극적인 지형과 다양한 유형의 암석이 있다"며 "약 1000년 전 발생한 '밀레니엄 분화'는 현대 역사상 가장 큰 화산폭발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사진=유네스코 홈페이지


중국은 이번에 창바이산 외에 5곳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받았다. 베이성의 엔시 대협곡-텅룽동 동굴 지질공원, 간쑤성의 린샤 지질공원, 푸젠성의 룽옌 지질공원, 장시성의 우공산 지질공원, 구이저우성의 싱이 지질공원이다.

앞서 중국은 지난 2020년 중국 영토에 속하는 백두산 지역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해달라고 유네스코에 신청했다. 현재 백두산은 4분의 1만 북한에 속해있고 4분의 3은 중국 땅이다. 다만 백두산 천지는 약 54.5%가 북한에 속한다.

백두산은 높이가 2744m로, 한반도에 위치한 가장 높은 산이다. 산머리가 1년 중 8개월 간 눈으로 덮여 있는 데다가 흰색의 부석(浮石)들이 얹혀 있어서 흰머리 산이라는 뜻으로 백두산이라고 이름 붙었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은 한반도의 기본 산줄기로, 우리 민족에게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돼 왔다.

이번 등재로 중국의 백두산 지우기가 본격화할지 우려가 커진다. 국제사회에서 '백두산'이라는 이름이 아예 사라질 수 있다.

또 동북공정과 더불어 중국이 2000년대부터 내세워온 '장백산 문화론'이 국제 사회에서 더 설득력을 얻을 것이라는 걱정도 나온다. 장백산 문화론은 태곳적부터 백두산 일대가 '한족(漢族)'의 일부, 즉 백두산 일대가 중국 역대 왕조의 영토였다는 주장이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만주 땅에 자리 잡았던 고구려와 발해까지 사실상 중국사에 편입하는 토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소연 기자 nicksy@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