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도 킬러문항 배제”…‘적정 난이도’ 확보 관건

김한울 기자 2024. 3. 28. 12:0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일보DB

 

올해 11월 14일 예정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교육 당국이 올해도 ‘킬러문항’을 배제하고 출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에 의대 정원 확대와 N수생 증가 등 다양한 이슈 속에서 이번 수능도 직전 수능에 이어 적정 난이도 확보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교육계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8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지난해 6월 ‘사교육 경감대책’에 따라 킬러문항을 철저히 배제하면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는 간접 방식으로 이뤄진다.

평가원은 “연계 교재에 포함된 도표, 그림, 지문 등 자료 활용을 통해 연계 체감도를 높일 예정”이라며 “연계율은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올해 수능은 직전 수능과 동일하게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나눠 시행되며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진다.

국어·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국어 영역의 경우 공통과목인 ‘독서’와 ‘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인 ‘수학 Ⅰ·Ⅱ’ 외에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공통과목 외 선택과목별 평균점수 등은 공개되지 않는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시행된다.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분리해 별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평가원은 3월 말 2025학년도 수능 안내자료(3종)를 평가원 수능 홈페이지에 탑재하고 해당 책자를 전국 고등학교에 배포하겠다고 전했다.

수능까지 모의고사는 6월 4일과 9월 4일 두 차례 진행되며 시험실당 배치 인원은 기존 최대 24명에서 코로나19 이전 기준인 28명으로 늘어난다.

장애인 수험생에게는 지원 정책을 펼친다.

예시로 점자 문제지가 필요한 시각장애 수험생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화면낭독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와 해당 프로그램용 문제지 파일 또는 녹음 테이프가 제공된다. 더불어 2교시 수학 영역 및 4교시 탐구 영역에서 필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점자정보단말기도 제공된다.

저소득층 가정의 교육비 부담 완화를 위한 응시수수료 환불 제도와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에 대한 응시수수료 면제, 문제 및 정답에 대한 공식적인 이의 신청 제도는 유지된다.

평가원은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은 오는 7월 1일 ‘시행세부계획’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한울 기자 dahan810@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