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직장인 10명 중 8명 "평균 51.1세에 주된 직장 퇴직"

이연우 기자 2024. 3. 28. 09:0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벼룩시장 제공

 

중장년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주된 직장'에서 퇴직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연령은 51.1세로, 법정 정년(60세)에 미치지 못했다.

28일 벼룩시장에 따르면 최근 전국 40세 이상 중장년 근로자 1천134명을 대상으로 퇴직 관련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9.7%는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경험이 있었고 당시 나이는 평균 51.1세로 조사됐다.

주된 직장인 개인 경력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곳 또는 가장 오래 일했던 곳을 뜻하는데, 근속기간은 평균 13년8개월에 그쳤다.

퇴직 사유로는 정년퇴직이 12.6%였던 반면, 해고나 회사 휴·폐업 등 비자발적 퇴직 비중이 62.5%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권고사직·정리해고·계약종료 등 해고로 인한 퇴직이 40.4%로 가장 많았으며 ▲경영악화로 인한 회사 휴·폐업(22.1%) ▲정년퇴직(12.6%) ▲이직·전직(6.5%) ▲은퇴 희망(5.4%) 순이다.

주된 직장을 떠난 후 재취업에 성공한 중장년 근로자는 51.8%였다. 30.8%는 현재 구직활동 중이며, 17.5%는 경제활동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근로자들이 재취업한 이유로는 생계 유지(66.9%)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노후 준비 부족'(9.2%), '가족 부양'(8.1%), '은퇴하기에 이른 나이'(7.3%), '자아 실현'(7.3%) 등이다.

재취업 중장년의 월 평균 소득은 주된 직장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주된 직장에서는 월평균 339.5만원을 받았지만, 재취업 후에는 269.1만원으로 20.8% 줄어든 식이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주된 직장 대비 25.8%, 남성은 20.8% 줄어들어 여성의 소득 감소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1.2%, 50대 24.5%, 60대 이상이 29.3% 감소했다고 답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월 평균 소득 감소 폭 역시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재취업 중장년 10명 중 6명은 시간제나 기간제, 용역 등 비정규직으로 재취업했다고 답했다.

주된 직장에서의 고용 형태는 정규직 비중이 76.1%였으나, 재취업 이후에는 37.6%에 그쳐 중년 이후의 고용 안정성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재취업 후 비정규직 비율이 79%에 달해 고용 불안정성이 더욱 큰 편이었다.

주된 직장 퇴직 후 구직활동 중이라고 답한 이들은 평균 4.4개월 이상 일자리를 찾고 있었다. 재취업 시 희망하는 월평균 소득은 290.4만원으로, 이는 주된 직장 재직 당시(339.5만원)와 비교해 14.5% 감소한 금액이다.

아울러 경제활동을 완전히 그만뒀다고 답한 이들은 가장 큰 이유로 '일을 더 하고 싶었지만 취업이 되지 않아서(22.8%)'를 꼽았다. 다음으로 '더 이상 일하고 싶지 않아서', '마음에 드는 일자리가 없어서'(15.4%), '건강이 좋지 않아서'(14.2%), '은퇴 후 여가를 즐기고 싶어서'(13.6%) 등 순이다.

이연우 기자 27yw@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