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정상 PF사업장 살려야 사회적 비용 최소화"

최나리 기자 2024. 3. 27. 18:2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최근 난항을 겪고 있는 PF사업장 처리와 관련해 금융사들의 요구가 공정하지 않다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금융위는 이와 관련해 PF 대출 관련 이자와 각종 수수료 등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최나리 기자, 이제껏 듣지 못하던 공정이란 단어가 등장했네요? 

배경이 뭔가요? 

[기자]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되던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게 배경으로 풀이됩니다. 

최근 마곡 CP4 사업장 정상화 계획과 관련해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한 채권단은 3천7백억 원을 추가 대출해 주기로 했는데 그 이자로 요구한 금리가 기존보다 높은 8%입니다. 

시행사인 태영건설 측은 금리를 동결한 사업장도 있는 상황에서 이미 사업성이 확인된 사업장에 대한 대출금리로는 지나치게 높다는 입장입니다. 

큰 입장 차로 난항이 이어지자 정부가 직접 개입해 상황을 조기 정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겁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이야기 들어보시죠. 

[권대영 /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 사업성이 있고 살릴 수 있는 정상 사업장은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살리는 것이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길입니다. 시장의 원칙, 수요와 공급이라는 게 있지만 그걸 제약하는 상식이란 게 있을 것 같습니다. 건설업계와 금융업계가 이해조정을 해보자는 것입니다.] 

잠잠해졌던 4월 위기설이 다시 불거지자 조기 차단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중소기업 지원책도 나왔죠? 

[기자] 

그렇습니다. 

약 42조 원의 중소기업 맞춤형 정책자금이 다음 달부터 본격 투입됩니다. 

신산업에 진출하는 기업은 1%p 이상, 대출상환 어려움을 겪는 기업은 최대 2%p 이자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앵커] 

이자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대책도 나왔죠? 

[기자] 

이미 1조 5천억 원의 '이자 돌려주기'에 나선 은행권도 6천억 원을 더 지원해 소상공인의 경비지원 등에 나섭니다. 

정부가 민생 지키기 '골든타임'을 잡기 위해 이번에 추가 투입하는 자금 규모는 중기 소상공인 자금 43조 원과, PF사업장 정상화 9조 원 등 모두 52조 원입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