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 무리뉴 "어디든 OK" 외쳤다 → 정말요? '코리아' 어떠신지

한동훈 2024. 3. 27. 18: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P연합뉴스
신화연합뉴스

[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한국 대표팀 어떠신지?

세계적인 명장 조제 무리뉴가 '어느 팀이든 괜찮다'며 올 여름 취직을 희망했다. 마침 대한민국 축구 A대표팀 감독이 공석이다. 그는 어떻게 생각할까?

무리뉴는 최근 유럽 축구 전문가 파브리지오 로마노와 인터뷰를 실시했다. 로마노는 27일(한국시각) 자신의 SNS를 통해 무리뉴와 대화를 일부 공개했다.

무리뉴는 "언젠가 국가대표팀을 맡는 것은 내 목표"라고 밝혔다.

무리뉴는 유럽의 여러 빅클럽을 지휘하며 가는 곳마다(토트넘 제외) 우승 트로피를 수집했다. 하지만 국가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적은 없다.

무리뉴는 2000년 벤피카 사령탑으로 감독 커리어를 시작했다. 레이리아를 거치며 2002년 FC 포르투 감독에 취임했다. 포르투를 2003~2004시즌 챔피언스리그 정상으로 이끌며 일약 스타 감독으로 발돋움했다. 이후 첼시에서 프리미어리그 우승, 인터밀란에서 트레블(2009~2010시즌 세리에A 코파이탈리아 챔피언스리그), 레알 마드리드에서 프리메라리가 우승,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유로파리그 우승, AS 로마에서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우승 등 화려한 업적을 쌓았다.

조국 포르투갈 대표팀 감독 제안은 두 차례 받았다. '더 선'에 의하면 무리뉴는 "나는 포르투갈 감독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두 번 있었다. 처음은 레알에 있을 때였고 다음은 로마에 있을 때다. 레알 시절에는 플로렌티노 페레즈 회장이 허락하지 않았다. 자랑스러운 자리지만 후회는 없다"고 회상했다.

첼시 출신 축구전문가 프랭크 르뵈프는 "무리뉴는 내심 마지막으로 포르투갈 대표팀 감독을 노릴 것이다. 내 생각에는 그게 무리뉴의 목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EPA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무리뉴는 올해 초 AS 로마에서 경질됐다. 현재 무직이다. 올해 여름이 되면 2024~2025시즌을 앞두고 여러 클럽들이 무리뉴에게 러브콜을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무리뉴는 "나는 여름에는 일하고 싶다"라며 긴 휴가 없이 바로 현장으로 복귀하길 원한다고 고백했다. 그는 "내 인생은 축구다. 어디서든 감독을 할 수 있다. 문제는 없다. 절대 'NO'는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러나 그가 한국으로 올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무리뉴는 "월드컵이나 유로, 코파아메리카 내지는 아프리카컵(네이션스컵) 직전이라면 당연히 'YES'다. 하지만 이 대회를 위해 2년을 기다려야 한다면 나의 대답은 '모르겠다'이다"라며 조건을 내걸었다.

무리뉴는 FIFA 주관 대륙별 대회 중 2개를 생략했다. 바로 아시안컵과 북중미 골드컵이다. 아시아나 북중미 국가에는 별 관심이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유럽이나 남미 혹은 아프리카 팀까지는 염두에 둘 수 있다는 의도로 해석 가능하다.

또한 무리뉴는 과거 몸 담았던 클럽 중 몇몇 구단은 매우 체계적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영국 언론은 정황상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토트넘을 저격한 것이라고 추측했다.

영국 언론 미러는 27일 '무리뉴는 맨유 감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클럽이 그에게 너무 많은 책임을 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갈등이 있었음을 암시했다'고 보도했다.

무리뉴는 "나는 항상 클럽에 헌신했다. 팬들의 성향은 신경쓰지 않는다. 국가도 상관없다. 팬들은 내가 모든 것을 바친다는 것을 안다. 개인적으로도 나는 단순한 코치 이상의 존재가 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 클럽들을 비교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무리뉴는 "어떤 클럽에서는 감독도 해야 하고 단장도 해야 하고 홍보팀도 해야 한다. 클럽의 대변인이 돼야 한다. 이는 사실 감독이 싫어하는 부분이다"라며 감독 역할에 집중하고 싶다고 밝혔다.

무리뉴는 "감독으로서 내가 원하는 것은 감독이 되는 것이다. 이상적으로 감독은 경기장과 훈련장, 라커룸, 터치라인에서 일을 해야 한다. 그런 구조가 클럽에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리뉴는 "나는 인터밀란에서 감독이었다. 레알 마드리드에서도 감독이었다. 처음 첼시를 맡았을 때에도 감독이었고 포르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다른 클럽에서는 내가 감독이 아니었다.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고 고백했다.

무리뉴가 포르투, 첼시, 인터밀란, 레알 마드리드를 거쳐 맡았던 클럽은 맨유와 토트넘, AS 로마다.

무리뉴는 "그래도 나는 항상 팀에 왔을 때 팬들을 생각했다. 유니폼을 입고 선수들과 함께 싸우는 팬의 입장에서 일을 했다"고 돌아봤다.

더 선은 '무리뉴는 과거에도 맨유에서 단장 없이 일했던 것이 얼마나 불만스러웠는지 털어놓았던 적이 있다. 무리뉴가 단장 없이 일했던 또 다른 클럽은 토트넘이다. 그는 자신이 긴밀한 유대를 공유하지 않았던 유일한 팀이 바로 토트넘이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