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워서 예물 사겠나"...'샤넬백' 가격 또 올랐다

김주미 2024. 3. 27. 17: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명품 브랜드들이 웨딩시즌을 앞두고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고 있다.

세계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가운데 에르메스, 루이비통이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샤넬도 가격 인상에 나섰다.

주요 명품 브랜드들이 올해 초부터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면서 샤넬의 가격 인상은 예고된 결과였다.

통상 명품 브랜드들은 한 해에 여러 차례 가격을 인상하며, 특히 연초에 많이 올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shutterstock

명품 브랜드들이 웨딩시즌을 앞두고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고 있다. 세계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가운데 에르메스, 루이비통이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샤넬도 가격 인상에 나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샤넬은 자사의 대표 제품 '클래식 플랩백'과 '보이백' 등 일부 가격을 6~7% 인상했다. 그 영향으로 클래식 플랩백의 스몰(미니) 사이즈는 1390만원에서 1497만원으로 7.7% 올랐고, 미디움 사이즈는 1450만원에서 1557만원으로 6.7%, 라지 사이즈는 1570만원에서 1678만원으로 5.9% 인상됐다.

주요 명품 브랜드들이 올해 초부터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면서 샤넬의 가격 인상은 예고된 결과였다. 통상 명품 브랜드들은 한 해에 여러 차례 가격을 인상하며, 특히 연초에 많이 올린다. 앞서 지난해 샤넬은 두 차례, 2022년에는 네 차례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프랑스 에르메스는 올해가 되자마자 가격을 인상했고, 지난달에는 루이비통이 일부 가방 제품 가격을 올렸다. 또 예비 신혼부부가 예물로 많이 찾는 티파니, 부쉐론 등 주얼리 브랜드도 결혼 성수기를 맞아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국내 명품 시장은 지난해 세계 7위 규모를 유지했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 유로모니터는 한국 명품시장 규모를 지난해 21조9909억원으로 추정해 전년(19조6767억원)보다 11.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명품 소비액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미국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인의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약 42만원)로 미국(280달러)과 중국(55달러)보다 훨씬 컸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