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 공동 설립자 160만주 블록딜 매각에 11% 하락[Why 바이오]

왕해나 기자 2024. 3. 27. 17: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알테오젠(196170)의 최대주주가 3000억 원 규모의 지분을 블록딜(대량 매매)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락했다.

알테오젠은 이날 전 알테오젠 최고전략책임자(CSO) 정혜신 씨가 알테오젠 주식 160만 주를 시간외 매매로 대량 매각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2일 미국 머크(MSD)와 맺은 ALT-B4(알테오젠의 SC제형 기술)에 대한 공급 계약을 비독점에서 독점으로 전환했다는 소식이 발표되자, 9만 원대의 주가는 한 달 만에 21만 원까지 치솟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 최고전략책임자 정혜신 씨 3천 억 규모 처분
“사회에 유익한 활동 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
알테오젠 주가 한 달 새 9만→21만 상승
알테오젠 본사 및 연구소 전경. 사진 제공=알테오젠
[서울경제]

알테오젠(196170)의 최대주주가 3000억 원 규모의 지분을 블록딜(대량 매매)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락했다.

알테오젠은 27일 전 거래일보다 10.89% 하락한 19만 5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 때는 주가가 13.99% 하락한 18만 8800원까지 떨어졌다.

알테오젠은 이날 전 알테오젠 최고전략책임자(CSO) 정혜신 씨가 알테오젠 주식 160만 주를 시간외 매매로 대량 매각했다고 밝혔다. 처분 단가는 19만 7770원으로, 총 블록딜 규모는 3164억 3200만 원 규모다.

정 씨는 알테오젠 설립자 중 한 사람으로 박순재 대표이사의 부인이다. 정 씨는 2008년 알테오젠 설립부터 사업에 관여해 오다 2023년 9월 공식 퇴임했다.

이번 대량 주식 매각으로 정혜신 씨의 알테오젠 소유 주식은 201만 6000주(지분율 3.85%)에서 41만 6000주(0.78%)로 감소했다. 대량 매입 주체는 익명의 해외 기관투자자다.

알테오젠의 주가는 최근 가파르게 상승했다. 지난달 22일 미국 머크(MSD)와 맺은 ALT-B4(알테오젠의 SC제형 기술)에 대한 공급 계약을 비독점에서 독점으로 전환했다는 소식이 발표되자, 9만 원대의 주가는 한 달 만에 21만 원까지 치솟았다. 때문에 대주주들의 지분 현금화 가능성도 제기됐다.

엄민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블록딜 타이밍이 지금 나온 것은 기술이전 같은 비공개 정보 활용에 따른 내부자 차익실현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며 "오히려 기술이전이 임박했을 것이런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또 "시장에서는 단기에 급등한 부분에 대해 차익실현 수요가 강했고 오늘 트리거가 되어준 상태이나 여전히 기회구간이라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알테오젠은 홈페이지를 통해 “정혜신 박사는 회사를 떠난 후 자신의 전문성을 살리며,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지 생각을 많이 했다고 한다”며 “나이가 들어 더 늦기 전에 사회에 유익한 활동을 하기 위해 이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사가 현재 진행 중인 각 플랫폼 및 바이오베터, 시밀러 등의 근본 사업들은 변함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글로벌 바이오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계속 발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Why 바이오 코너는 증시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들의 이슈를 전달하는 연재물입니다. 주가나 거래량 등에서 특징을 보인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이슈에 대해 해설하고 전망합니다. 특히 해당 기업 측 의견도 충실히 반영해 중심 잡힌 정보를 투자자와 제약·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에게 전달합니다.

왕해나 기자 haena07@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