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워도 치워도 제주연안으로 밀려오는 해양쓰레기

고성식 2024. 3. 27. 1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 바다에 많은 양의 해양 쓰레기가 꾸준히 발생해 어업활동과 바다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27일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따르면 2022년 제주 3개 지점(구좌읍 김녕, 남원읍 위미, 안덕면 사계) 연안에서 해양쓰레기 총 3천601개가 수거됐고 무게는 126.5㎏에 달한다.

2021년에도 도내 3개 지점에서 해양쓰레기 총 3천260개가 수거됐고 무게는 250.7㎏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당량 어선에서 발생"…바다거북·돌고래 목숨 위협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 바다에 많은 양의 해양 쓰레기가 꾸준히 발생해 어업활동과 바다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제주 김녕해안 해양 쓰레기 [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27일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따르면 2022년 제주 3개 지점(구좌읍 김녕, 남원읍 위미, 안덕면 사계) 연안에서 해양쓰레기 총 3천601개가 수거됐고 무게는 126.5㎏에 달한다.

지점별로는 김녕 1천930개 83.5㎏, 위미 1천8개 21.6㎏, 사계 663개 21.4㎏ 등이다.

해양 쓰레기 유형별로는 플라스틱이 54.4㎏(2천542개)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이어 목재 35.4㎏(66개), 종이류 10.3㎏(21개), 유리류 8.6㎏(500개), 외국발 쓰레기 5.5㎏(116개), 금속 5㎏(44개), 고무 3.5㎏(17개), 천연 섬유 1.7㎏(23개), 기타 재질 12.2㎏(362개) 등이다.

2021년에도 도내 3개 지점에서 해양쓰레기 총 3천260개가 수거됐고 무게는 250.7㎏였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지역 어업활동 여건과 해양환경 변화에 대한 어민면접 조사 보고서에서 어선에서 해양쓰레기가 다수 발생하고 있고, 상당량의 폐어구도 버려지고 있다며 어업활동에서 나오는 쓰레기가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 어민은 이번 면접조사에서 "여름에 태풍 불 때는 해양쓰레기가 엄청나게 올라와서 어촌계 사무실 옆에 있는 집하장이 일주일도 안 돼 쓰레기로 가득 찰 정도"라고 말했다.

낚싯바늘 박힌 채 죽어 있는 보호종 푸른바다거북 [연합뉴스 자료사진]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또 어민 면접조사에서 어민들은 공통으로 미끼 포장용 비닐봉지를 문제점으로 지목하고 있다며 비닐봉지는 해안으로 떠밀려오지 않고 바다에 가라앉고 있어 생태계 훼손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주에서는 폐어구나 플라스틱 재질의 해양쓰레기가 걸려 있는 보호종 바다거북이나 남방큰돌래가 종종 발견되며 심지어 폐사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다.

kos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