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수식어 뒤에 한인 디아스포라가 있다 [프리스타일]

김영화 기자 2024. 3. 27. 07: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팀에 있으면서 'K'라는 수식어를 자주 쓰게 된다.

웹툰부터 드라마, 음악까지 해외로 뻗어나가는 K콘텐츠의 면면을 조명할 일이 많아진 까닭이다.

자문화 중심주의나 우월주의에 기반한 'K'의 오남용을 경계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면서도, 한국의 어떤 것이 해외에서 인기라는 소식을 들으면 어쩔 수 없이 궁금해진다.

취재를 할수록 'K' 뒤에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면에서는 늘 진지하기만 한 〈시사IN〉 기자들, 기사 바깥에서는 어떤 생각을 할까요? 친한 친구의 수다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읽어주세요.
틱톡 인플루언서 세라 안(오른쪽).ⓒ세라 안 제공

문화팀에 있으면서 ‘K’라는 수식어를 자주 쓰게 된다. 웹툰부터 드라마, 음악까지 해외로 뻗어나가는 K콘텐츠의 면면을 조명할 일이 많아진 까닭이다. 복잡미묘한 감정이 들 때가 많다. 자문화 중심주의나 우월주의에 기반한 ‘K’의 오남용을 경계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면서도, 한국의 어떤 것이 해외에서 인기라는 소식을 들으면 어쩔 수 없이 궁금해진다. 도대체 왜? 어떻게 가능했을까?

얼마 전 미국에서 히트 친 냉동 김밥에 관한 기사를 쓰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시사IN〉 제858호 ‘그 냉동 김밥은 어쩌다 미국에서 품절되었나?’ 기사 참조). 그 시작에는 한국계 미국인 인플루언서가 있었다. SNS에서 어머니의 한식 레시피를 공유하는 세라 안 씨다.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인 정체성을 숨겨온 그가 우연히 대형마트에 파는 냉동 김밥을 리뷰했는데, 그 이후 전국적으로 품절 대란이 일었다. 그저 기적 같은 해프닝인 줄로만 알았는데, 그와 대화하면서 나는 한류의 한 축이 한국계 이민자들의 서사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안씨가 말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내게 한국어와 한식은 중요한 문제다. 그 문화를 전승하지 않으면 한국계 미국인이 아닌, 그냥 미국인이 될지도 모른다.” 단순히 ‘K’로 요약할 수 없는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처럼 느껴졌다.

〈미나리〉부터 〈성난 사람들〉 〈패스트 라이브즈〉까지 한국계 이민자들을 다룬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세 작품의 감독 모두 한국계 미국인이고 자전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이를 두고 ‘한국적인 이야기가 통했다’라거나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분석은 어쩐지 충분치 않아 보인다. 산업의 성과만 강조될 뿐 그 뒤의 사람들은 가려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언론에서 처음으로 냉동 김밥 열풍을 다룬 NBC 보도는 한국계 기자가 한 것이다. 전 세계로 수출되는 웹툰을 번역하는 이들은 한국어가 능숙한 원어민이다. ‘K 열풍’은 이처럼 경계에 있는 사람들이 이룩해내고 있는 성과가 아닐까.

미국에서 한국의 콘텐츠가 인기를 끌게 된 것은 다양성이 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주에서 비롯된 서사는 국적과 인종을 초월해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고, 이민자들은 그 대열의 맨 앞에 섰다. 어찌 보면 한류는 ‘국뽕’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셈이다. 취재를 할수록 ‘K’ 뒤에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것도 우리가 아는 ‘한국인’만으로 정의될 수 없는 다양한 경계인들이. 그런 분투와 성공을 더 많이 기록하고 싶다.

김영화 기자 young@sisain.co.kr

▶읽기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습관 [시사IN 구독]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