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고품질 쌀의 시대, 의미와 조건

관리자 2024. 3. 27.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산 쌀 품질 개선을 위해 '쌀 등급 및 단백질 함량 기준' 고시 개정안이 시행됐다.

이런 예측과 기대에 부응해 정부도 2018년부터 '양보다 질'이라는 방향으로 고품질 쌀 생산을 강조했으며, 올해 예고했던 대로 쌀 등급기준을 강화하고 다수확 품종의 공공비축 매입을 제한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번에 강화된 쌀 등급기준은 고품질 쌀 유통의 필요조건이며, 충분조건으로 품종과 품질이 쌀값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표시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산 쌀 품질 개선을 위해 ‘쌀 등급 및 단백질 함량 기준’ 고시 개정안이 시행됐다. ‘보통’ 등급 쌀의 싸라기 혼입 한도를 20%에서 12%로 강화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부터 다수확 품종에 대한 공공비축 매입을 제한하고 내년부터는 정부 보급종 공급도 중단한다. 고품질 쌀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쌀 적정 생산도 실현해보려는 이른바 ‘양수겸장(兩手兼將)’ 전략이다.

돌이켜보면, 거의 반세기 전까지 우리나라는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식량 사정이 열악했다. 당시 정부는 쌀 증산을 경제 발전의 핵심 과제로 삼아 다수확 벼 육종에 진력했고, 1960년대 후반 ‘통일벼’를 개발해 대대적인 증산시책을 펼친 결과 1977년 식량자급을 실현했다. 하지만 ‘통일벼’는 미질이 떨어지는 탓에 소비가 줄어 1992년 이후 자취를 감췄다.

우리나라 국민의 쌀 소비량은 1979년에 사상 최고치(1인당 연간 135.6㎏)를 기록한 이후 계속 줄어 매년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올초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양곡 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으로 나타났다. 하루 소비량으로 따지면 고작 154.5g으로, 하루에 밥을 두공기도 안 먹는다는 얘기다.

그런데 최근 들어 쌀 소비 감소가 조금 둔화하는 모습이다. 2016년 이후 1인당 쌀 소비량 감소율이 전년 대비 2% 수준을 밑돌고 있는 추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그 원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쌀 소비가 많은 1인가구가 늘어났고, 쌀을 활용한 다양한 가정간편식(HMR) 시장이 커졌다는 점을 꼽았다. 특히 재작년부터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경기침체 영향으로 외식이 줄고 집밥 수요가 늘면서 최근 5년 사이 가장 적은 감소율을 나타낸 것도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농경제학자들도 쌀 소비 감소세가 언제 안정권에 도달할 것인지 관심이 많다. 그중에는 조심스레 소비 감소가 멈추는 수렴시기를 예측하기도 했다. 이런 예측과 기대에 부응해 정부도 2018년부터 ‘양보다 질’이라는 방향으로 고품질 쌀 생산을 강조했으며, 올해 예고했던 대로 쌀 등급기준을 강화하고 다수확 품종의 공공비축 매입을 제한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제 국내 쌀 시장이 본격적인 고품질 시대로 접어들었다. 따라서 고품질 쌀 생산·유통 시스템이 원활히 정착될 수 있도록 다음 세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고품질 쌀의 유통체계 확립이다. 이번에 강화된 쌀 등급기준은 고품질 쌀 유통의 필요조건이며, 충분조건으로 품종과 품질이 쌀값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표시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특히 품종과 산지·품위 등이 표시된 브랜드 쌀이 적정 가격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받도록 해야 한다.

둘째, 고품질 쌀의 생산기반 구축이다. 농업기술센터는 생산단지별로 농업인들이 품종 선택, 종자 소독, 육묘와 이앙 등을 실천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지역농협과 영농법인들은 고품질 쌀의 저장·가공·포장이 일관성 있게 이뤄지도록 미곡처리시설을 꾸준히 개선해야 한다.

셋째, 고품질 쌀 육종에 민간 참여다. 농촌진흥청과 농업기술원은 신품종 육성과 적응시험에 역량을 강화하면서 아울러 민간기업의 참여도 장려해야 한다. ‘골든퀸3호’가 좋은 사례인데, 농진청은 민간의 수요를 적극 반영해 육종의 핵심인 유전자원과 연구시설의 공동 활용을 확대해야 한다.

올해도 종자 선별과 육묘로 벼농사가 시작된다. 밥맛에 더해 기능성이나 영양적 가치를 갖춘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것이 우리 농업을 지키는 일이다.

김정호 환경농업연구원장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