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철도지하화, 정치보다 경기도가 먼저 출발한다

경기일보 2024. 3. 27. 03:0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상철도 지하화가 현실화되는 느낌이다. 수원 정치권에서 공약으로 시작된 사업이다. 수원지역 여론에 불을 지핀 건 국민의힘이다. 근거는 21대 국회가 마련한 철도지하화법이다. 한때 더불어민주당이 ‘공약 베끼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내 당략을 떠나 사업 실천에 방점을 찍자는 주장으로 흘러갔다. 이제는 민주당 경기도당의 공식 공약이다. ‘누가 되든 실천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옳은 흐름이다. 그렇게 가길 바란다.

정부가 움직인다. 철도지하화 밑그림 마련에 착수했다. 지난 22일 경부선·경인선·경원선 일부 구간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사업 공법, 도시개발 방향 도출을 위한 종합계획이다. 올 상반기에 관련 사업 가이드라인도 발표할 예정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사업을 시작할 선도사업지 선정이다. 오는 12월까지 희망 지자체로부터 제안을 받는다. 안양시, 부천시, 군포시, 안산시 등이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도가 합류했다.

인천시, 서울시와 함께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철도지하화 사업은 국내에서는 선례가 없다. 그만큼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한 영역이다. 수도권 3개 광역단체가 힘을 모으자는 게 경기도의 취지다. 해당 지자체와의 협조체제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업 추진 의사를 밝힌 경기도내 지자체와의 협의체 구성이다. 철도 노선별 협의를 맡게 된다. 시가 도시관리계획을 맡고, 도가 기술·행정적 지원을 한다는 구상이다.

물론 정치적 경쟁 영역은 남는다. ‘선도 사업 선정’이다. 구간별 사업 기간이 길다. 계속 추진을 장담키 어렵다. 우선 착수는 그래서 중요하다. 이 결정이 정부와 정치의 영향하에 있다. 선거를 통해 유권자 선택을 받아야 할 대목이다. 그럼에도 현 단계에 부여할 수 있는 의미는 충분하다. 수원이라는 지역에서 총선 공약으로 불이 붙은 사업이다. 국민의힘·민주당이 구분 없이 실천을 다짐했다. 그 공약을 경기도가 견인하게 된 것이다.

‘주민 좋을 공약’에 당이 따로 있나. 굳이 선거일까지 기다릴 필요 있나. 좋은 공약이면 공유하는 것이 옳다. 필요한 순간이라면 삽을 뜨는 것이 좋다. 이것이 선거의 순기능이다. 주민을 위한 선거다. 모처럼 그런 모습을 보게 된다. 철도지하화가 그 표본이다. 시작이 경기도, 수원이라서 더욱 좋다. 여야가 사생결단한다는 지역이다. 이 난타전 속에서도 지역에 선물을 남기고 있다. 이런 모습을 지역 정치의 수준이라 평해도 좋을 것이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