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처럼… 누구나 경계없이 목소리 내는 판 펼치겠다”

김민 기자 2024. 3. 27.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는 항상 일반 대중을 위해서 전시를 합니다. 제가 (2005년) 리옹 비엔날레 감독을 맡았을 때 50만 명이 방문했는데, 이들은 미술계 사람이 아니었어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맡은 니콜라 부리오가 26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가진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부리오는 "비엔날레는 미술관 전시와 달리 지금의 현대미술을 보여 줘야 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생존 작가로만 구성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부리오
9월 개막 앞두고 참여 작가 공개
30개국 73명… 女작가 절반 넘어
“오페라처럼 주위와 공명하는 구성… 평범한 대중을 위한 전시 될 것”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맡은 니콜라 부리오가 26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동아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부리오는 “일반 대중을 위해 전시를 만들지만 이것은 상업적 수익을 많이 올리려는 전시와는 다르다”며 “좋은 예술을 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전시를 추구한다”고 말했다. 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저는 항상 일반 대중을 위해서 전시를 합니다. 제가 (2005년) 리옹 비엔날레 감독을 맡았을 때 50만 명이 방문했는데, 이들은 미술계 사람이 아니었어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맡은 니콜라 부리오가 26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가진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부리오는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비엔날레 참여 작가 명단을 발표했다. ‘판소리, 모두의 울림’이라는 주제로 9월 7일 개막하는 올해 광주비엔날레는 30개국 73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부리오는 관객 참여로 완성되는 예술 작품을 전면에 내세워 여러 전시를 흥행시킨 스타 큐레이터다. 지난해 그가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에 선임됐을 때 국내 미술계의 주목을 받았다. 부리오는 “시각 언어는 문자를 몰라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보편적이고 파급 효과가 크다”며 “좋은 예술 작품을 누구나 알아볼 수 있도록 전시를 여는 것”이라고 했다.

그런 관점에서 부리오는 이번 전시를 한 편의 오페라 혹은 영화처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크게 세 가지 주제 ‘라르센 효과’, ‘폴리포니’, ‘원초적인 소리’로 이뤄진다. 라르센 효과는 두 음향기기 사이가 너무 가까울 때 기괴한 소리가 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말처럼 첫 번째 전시장은 좁은 공간 안에 많은 작품이 붐비는 형태로 조성된다. 이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의 발달로 지구 속에 너무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상황을 비유한 것이다.

이 공간을 지나가면 다음에는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어우러지는 ‘폴리포니’, 그리고 미시적인 분자부터 광활한 우주까지 표현하는 ‘원초적인 소리’로 이어진다. 즉 좁은 공간에서 점점 넓은 영역으로 나아가는 구성이다. 부리오는 “이 전시를 영화 장르로 비유한다면 프랑스 영화감독 크리스 마르케르의 ‘시적 다큐멘터리’와 같을 것”이라고 했다.

신분제인 카스트 제도를 주제로 한 인도 작가 아몰 K 파틸의 ‘도시 사이의 선’. 올해 광주비엔날레에서 파틸은 신발 착용조차 금지된 계급 ‘달리트’를 다룰 예정이다. TKG+ 아트 갤러리 및 작가 제공
부리오는 “비엔날레는 미술관 전시와 달리 지금의 현대미술을 보여 줘야 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생존 작가로만 구성했다”고 말했다. 참여 작가 중에는 필리프 파레노처럼 유명 예술가도 있지만, 1980∼1990년대에 출생한 신진 작가도 많다. 부리오는 “내가 이전에 보지 못했던 무언가를 갖고 있는지, 단순히 예쁜 것이 아니라 독창적인 요소를 가졌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성 작가가 43명으로 절반 이상인데, 일부러 성비를 나눈 것은 아니지만 현대미술에서 그만큼 여성의 활약이 두드러진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그의 과거 전시는 미술관에서 요리를 해 음식을 나눠 먹는 등 관객 참여 프로그램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이번에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앞 카페 마당에서 프랑스인 셰프가 광주의 전통 음식을 재해석해 관객이 먹어 볼 수 있는 예술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라고 귀띔했다. 또 전시장 근처 양림동의 폐가나 버려진 파출소, 예술가의 작업실 등에 예술 작품을 설치할 예정이다.

그는 “판소리는 북과 사람의 목소리로만 이뤄지는 최소한의 오페라라는 점, 그리고 누구나 경계 없이 감상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전시의 출발점이 되었다”며 “소리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공간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리오는 1998년 비평서 ‘관계의 미학’을 출간하고 세계적 주목을 받은 뒤 1999년 프랑스 파리의 현대미술관 팔레 드 도쿄를 공동 설립하고 2006년까지 공동 디렉터를 맡았다. 또 영국 테이트 브리튼 미술관 큐레이터, 프랑스 몽펠리에 현대미술관장 등을 지냈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