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판 테헤란로 생기나”...차량기지 싹 밀고 상업지 용적률 800%까지 쑥

이희수 기자(lee.heesoo@mk.co.kr) 2024. 3. 26. 19: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강북권 대개조의 핵심은 '총량제'를 폐지해 상업지역을 강남권 수준으로 대폭 늘리는 것이다.

베드타운으로 전락한 강북권을 바꾸기 위해선 기업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상업지역을 확대하는 게 필요하다고 봤다.

오 시장은 "강북권은 상업지역이 거의 없다 보니 직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직장이 없으니 도심과 강남으로 출근하고 기업 부족으로 지역 내 총생산(GRDP)도 최하위에 머물게 됐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북권 상업지역 총량제 폐지
차량기지 등 대규모 유휴부지에
‘균형발전 사전협상제’ 도입
광운대 역세권 대기업 이전 유력
서울혁신파크, 서울창조타운으로
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오전 서울시청 청사에서 열린 ‘다시, 강북 전성시대’ 기자설명회에서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하는 강북권 대개조의 핵심은 ‘총량제’를 폐지해 상업지역을 강남권 수준으로 대폭 늘리는 것이다. 베드타운으로 전락한 강북권을 바꾸기 위해선 기업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상업지역을 확대하는 게 필요하다고 봤다. 이를 위해 창동·신내 차량기지와 같은 대규모 용지에 ‘균형발전 화이트사이트’ 제도를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26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동북권과 서북권 상업지역 면적을 2~3배 늘려 강남권과 균형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강북권은 상업지역이 거의 없다 보니 직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직장이 없으니 도심과 강남으로 출근하고 기업 부족으로 지역 내 총생산(GRDP)도 최하위에 머물게 됐다”고 말했다.

[사진 = 서울시]
실제 동북권(343만㎡)과 서북권(176만㎡)을 합쳐도 도심권(815만㎡)과 동남권(627만㎡)에 비해 상업지역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에 도입되는 상업지역 총량제는 지역별로 상업지역 면적을 정해놓고 그 범위 안에서만 지정하는 제도다. 앞으로는 강북지역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된다면 정해진 면적을 넘어서도 상업시설을 허용할 방침이다.

최대 수혜지는 차량기지·터미널 등 대규모 개발이 가능한 용지다. 이들 용지에 균형발전 ‘화이트사이트’란 제도를 도입한다. 화이트사이트는 사업시행자가 기존 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개발 계획을 구상해 제안하는 제도다. 싱가포르 대표 명소인 마리나베이샌즈가 화이트사이트 제도로 탄생했다.

[사진 = 서울시]
이 제도를 활용하면 보통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를 올려준다. 용적률을 800%까지 쓸 수 있다. 서울시는 필요할 경우 상한 용적률을 1.2배 더 풀어줄 계획이다. 일반상업지역이라면 용적률을 960%까지도 쓰게 되는 셈이다. 공공기여도 기존보다 완화해준다. 그 대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을 의무적으로 유치하게 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올해 상반기 중으로 기준과 원칙을 마련하고 하반기부터는 바로 적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이트사이트가 적용될 강북권 대상지는 총 16곳이 꼽힌다. 도봉구 창동 차량기지 이전부지(25만㎡)는 바이오-정보통신기술(ICT) 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게 서울시 계획이다. 중랑구 신내차량기지(19만㎡)도 중랑공영차고지(6만㎡), 면목선 차량기지(2만㎡) 등과 통합개발해 첨단산업·일반업무지구로 조성한다. 또한 은평구 서울혁신파크 용지(6만㎡)는 미디어콘텐츠를 앞세워 창조산업 클러스터인 ‘서울창조타운’으로 만든다.

강북권에 서울 대학의 83%가 몰려있는 점도 고려한다. 첨단학과나 창업허브를 신설하면 각종 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고려대·연세대·홍익대 등 6개 대학을 연구개발(R&D) 캠퍼스로 선정하기도 했다. 광운대 역세권에 약 900실, 북아현3구역에 약 500실 규모의 공공기숙사도 건립한다.

■ <용어설명> ▶ 화이트사이트 : 화이트사이트는 사업시행자가 기존 도시계획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하는 용도와 규모로 개발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도다. 인구 밀도가 높고 토지 이용이 제한적인 도심에서 주로 쓰인다. 싱가포르 대표 명소인 마리나베이샌즈가 이 제도를 통해 조성됐다.] ▶ 상업지역 총량제 : 서울시가 자치구별로 상업지역 지정 가능성을 예측하고 총량을 정하는 제도다. 정해진 범위 안에서 상업지역을 지정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