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진보 대립'이 우리 사회 가장 큰 갈등이라는 국민 더 늘었다

이유지 2024. 3. 26. 1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사회 가장 큰 갈등으로 '보수 대 진보' 이념 대립을 꼽은 국민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회갈등 인식률 조사에서 전년에 이어 '보수와 진보'가 82.9%로 8개 항목 중 1위를 차지했다.

사회적 고립감 관련 조사에서 지난해 국민 중 '외롭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비중은 18.5%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3 한국의 사회지표'
기대수명 2000년 이후 첫 감소
삶 만족도 40대 최고, 60대 최저
경기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앞에서 지난해 1월 보수, 진보단체가 맞불 집회를 벌이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우리 사회 가장 큰 갈등으로 '보수 대 진보' 이념 대립을 꼽은 국민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회갈등 인식률 조사에서 전년에 이어 '보수와 진보'가 82.9%로 8개 항목 중 1위를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하락했으나 보수와 진보 항목은 0.3%포인트 상승했다. 빈곤층과 중상층(76.1%), 근로자와 고용주(68.9%), 개발과 환경 보존(61.4%), 수도권과 지방(56.8%) 갈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은 944만 명으로 총인구의 18.2%를 차지했다. 2072년엔 노인 인구가 전체의 47.7%(1,727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비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였다.

기대수명은 코로나19 사망자 증가에 따라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0.9년 줄어든 82.7년으로 집계됐다. 1970년 이후 첫 뒷걸음질이다. 질병 또는 장애 기간을 제외한 건강수명(65.8년)은 통계 작성 이래 두 번째로 높았지만, 2020년보단 0.5년 감소했다. 지난해 인구 1,000명당 사망자(6.9명)는 전년 대비 0.4명 감소했는데, 사망 원인 1위는 암(악성신생물)이었다.

사회적 고립감 관련 조사에서 지난해 국민 중 '외롭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비중은 18.5%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감소했다.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낀 비율은 13%로 0.4%포인트 증가했다. 사회적 고립감은 60세 이상 고령층이 가장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74.1%로 전년보다 1.3%포인트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대(79.2%)가 가장 높고, 60세 이상(68.7%)이 제일 낮았다. 소득수준 기준으로는 월 500만~600만 원인 이들의 삶의 만족도가 80.3%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 비중은 68.4%로 1년 전보다 4.2%포인트 하락했다.

연평균 가구 소득은 2022년 6,762만 원으로 전년보다 292만 원 올랐고,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79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만2,000원 늘었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4,000원으로 5.8% 늘었다.

'한국의 사회지표'는 우리나라 사회상, 국민 삶과 밀접한 경제·사회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여러 통계작성기관의 통계를 통계청이 재분류·가공한 보고서로 1970년부터 발행돼왔다.

세종=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