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랩스, SFAW서 스마트 제조 인프라 구축 솔루션 공개

신영빈 기자 2024. 3. 26. 18: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업용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솔루션 전문기업인 아하랩스는 오는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FAW)'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 인프라 구축 솔루션을 선보인다.

아하랩스는 이번 전시에서 ▲데이터 수집 ▲실시간 이상감지 ▲예지보전 등 다양한 산업용 빅데이터 및 AI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빅데이터 연계해 제조 현장 DX 지원

(지디넷코리아=신영빈 기자)산업용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솔루션 전문기업인 아하랩스는 오는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FAW)'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 인프라 구축 솔루션을 선보인다.

아하랩스는 이번 전시에서 ▲데이터 수집 ▲실시간 이상감지 ▲예지보전 등 다양한 산업용 빅데이터 및 AI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아하랩스의 부스 위치는 코엑스 3층 C홀 200이다.

아하랩스가 자체 개발한 AIOps 플랫폼 '리사(LISA)'는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활용해 스마트 제조와 수율 제고를 위한 AI 학습 및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솔루션이다.

생산 품질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운영 플랫폼 '리사(LISA)'의 실시간 이상 검출 화면 (사진=아하랩스)

특히 리사 플랫폼은 정상 데이터만으로 제품과 공정의 불량, 오류, 장애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신규 생산 등 이유로 정상 데이터 대비 비정상 데이터의 수치가 현저히 적은 '클래스 불균형'이 심각하거나, 판독 대상의 표면 형상 자유도가 높아 불량의 형태와 종류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딥러닝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또 제조 빅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인 '데이터 캠프(Data CAMP)'는 현장에서 생성되는 영상, 이미지, 진동, 음향(소음)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다양한 시스템과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특히 제조 현장에서 사용 중인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일괄 수집해 통합적인 데이터 관리 및 제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LISA의 품질 검사 결과값을 받아 맞춤형 대시보드로 구성하거나, PLC 통신을 통해 설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하랩스는 이번 전시에서 제조공정 라인을 축소한 컨베이어 벨트 시뮬레이션 장비를 이용해 두 솔루션이 연계 작동하는 모습을 직접 시연할 예정이다. 또 머신비전 하드웨어 솔루션 전문 기업인 비투에스와 함께 개발한 제품 표면결함 관리용 스마트 조명 시스템인 'AI 라이트 팔레트(AI Light Palette)'도 함께 선보인다.

함상화 아하랩스 대표는 "향후 제조 분야는 물론 건설·유통 등 다양한 산업 분야 고객이 방대한 양의 각종 데이터로부터 귀중한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고객맞춤형 AI·빅데이터 솔루션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하랩스는 최근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신영빈 기자(burger@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