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힘 싣는 SK하이닉스…"소비자용, 메이저 3개 업체에 샘플 제공"

유선일 기자 2024. 3. 26. 06: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하이닉스가 노트북·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소비자용 SSD(Solid State Drive)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개발한 소비자용 신제품에 대해 "현재 메이저(major) 3개 업체를 대상으로 샘플을 제공해 평가를 진행 중"이라며 "뛰어난 성능과 원가 경쟁력으로 cSSD 시장에서 경쟁력 높은 제품 공급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2024.02.26. kch0523@newsis.com /사진=권창회

SK하이닉스가 노트북·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소비자용 SSD(Solid State Drive)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용량 소비자용 SSD를 개발해 고객사 납품을 앞두고 있다. AI(인공지능) PC에 탑재할 수 있는 또 다른 소비자용 제품도 상반기 개발을 완료한다. 최근 기업용 SSD 매출도 늘고 있어 SK하이닉스의 낸드플래시 사업 전반의 개선이 기대된다.

25일 SK하이닉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238단 낸드플래시를 적용한 c(client·소비자용)SSD 신제품을 개발해 고객사 납품을 타진 중이다.

SSD는 낸드플래시 등을 사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다. 데이터센터·서버 등에 사용되는 '기업용'과 노트북·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소비자용'으로 구분된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개발한 소비자용 신제품에 대해 "현재 메이저(major) 3개 업체를 대상으로 샘플을 제공해 평가를 진행 중"이라며 "뛰어난 성능과 원가 경쟁력으로 cSSD 시장에서 경쟁력 높은 제품 공급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자사가 개발한 238단 낸드플래시를 적용해 SSD 용량을 키웠다. 낸드플래시는 셀 적층 수가 많을수록 용량이 커지는데 현재 세계 최고 단수가 238단이다. SK하이닉스는 또한 SSD 신제품에 D램을 탑재하지 않는 'D램리스(less)' 방식을 적용해 전력 효율을 높였다.

이 회사는 자사가 샘플을 제공한 메이저 3개 업체의 명단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이 제품이 노트북·스마트폰에 쓰이는 '소비자용'이라는 점에서 국내외 대형 전자업체와 협의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SK하이닉스는 이 신제품과 별개로 최근 미국에서 소비자용 SSD인 'PCB01'를 공개했다. 기기 자체적으로 AI를 구동하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 PC에 탑재되는 제품이다. SK하이닉스는 최근 글로벌 주요 고객사로부터 제품 성능·안정성 검증을 마쳤고 상반기 중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성장 가능성'을 보고 소비자용 SSD에 지속 투자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는 소비자용 SSD 시장이 2022~2027년 연평균 36.1%(매출 기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SK하이닉스의 기업용 SSD 매출도 늘고 있어 올해 낸드플래시 사업 실적 개선 기대가 높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SK하이닉스(자회사 솔리다임 포함)의 기업용 SSD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96.9% 늘어난 7억6600만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24.9%에서 33.2%로 8.3%포인트(p) 상승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월 실적발표에서 "낸드플래시는 올해 하반기 중 재고 정상화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서울=뉴스1) 김초희 디자이너 =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346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22년 3분기(1조6556억원) 이후 처음이다. 영업이익률은 3%를 기록했다.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초희 디자이너


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