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신소재 산업 메카 강원·춘천… 강소특구로 퀀텀 점프[균형발전의 거점, 강소특구를 가다⑤]

원호섭 기자(wonc@mk.co.kr) 2024. 3. 21. 08: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원대와 함께 퀀텀 점프 노리는
국내 바이오 특화 지역 강원
산학혁신허브 2025년 완공
“창업 활성화, 기술이전 첨병 될 것”

강원특별자치도는 강원대와 춘천시 등과 함께 지난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신규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됐다. 그동안 꾸준히 투자를 이어왔던 바이오산업 분야의 강점을 살리면서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특화분야는 ‘바이오·의약·신소재’ 분야로 정했다.

기술핵심기관인 강원대를 중심으로 후평일반산업단지, 거두농공단지, 남춘천일반산업단지 공간을 마련해 바이오연구개발특구 혁신 생태계 육성과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을 통한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강원대,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등 참여

강원대 혁신파크 조감도 [사진제공=강원춘천 연구개발특구]
강원춘천 강소특구의 지원사업은 양방향기술발굴연계, 이노폴리스캠퍼스, 혁신네트워크, 지역 특성화 육성 등 크게 네 가지다.

먼저 양방향기술발굴연계는 기술핵심기관인 강원대를 중심으로 특화 분야인 바이오 의약 신소재 관련 공공기술 수요를 발굴하고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 상용화를 추진한다. 기술 기업 발굴에서 나아가 해당 기술을 사업화하거나 이전할 수 있는 도내 기업을 연결하고 나아가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후속지원에 나서는 것이다.

장철성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장은 “강원대 내 구축된 전주기 창업 지원 플랫폼을 개방해 강원·춘천 지역의 기술 창업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라며 “항체신약 소재, 체외진단 소재, 생리활성 신소재 등 강원대를 중심으로 가능성이 있는 바이오·의약 신소재를 기반으로 기술매칭, 모니터링 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을 돕는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비롯해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은 물론 강원대병원 등의 연구소와 강원춘천 강소특구사업단, 특구 내 입주기업 등을 연계하는 혁신네트워크도 가동하고 있다. 장 단장은 “춘천 강소특구 내 기업 성장지원을 통해 특화 분야 산업 육성 및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강원대는 지역 특성화 육성을 통해 지역 내 기업의 애로기술해결과 사업화를 지원하고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은 바이오 분야 맞춤형 기술사업화를 위한 전 단계 지원체계 지원,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은 면역항체 소재 연구·개발(R&D)과 관련된 패키지 지원에 나서고 있다.

◆산학연혁신허브 내년 완공… “지역맞춤형 산학협력 모델 만들 것”

지난해 개최된 강원춘천 강소연구개발특구 성과 공유회 [사진제공=강원춘천 연구개발특구]
강원춘천 강소특구의 핵심 기관인 강원대는 2022년부터 캠퍼스 혁신파크 ‘산학연혁신허브’를 짓고 있다. 2025년 완공 예정인 산학연혁신허브는 지역기업은 물론 예비 창업자에게 우수한 입지 공간을 저렴하게 제공하고 산학협력,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입주기업에는 법인세, 재산세, 취득세 등을 감면해 주고 대학 내에 있는 복지·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장 단장은 “대학 창업 활성화는 물론 기술사업화, 기업활동 촉진으로 대학과 지자체, 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복합 산업단지를 구축해 나가려고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강원대를 비롯해 강원특별자치도가 보유한 여러 대학 병원과 기업 등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강원춘천 강소특구는 2023년 연구소기업 설립 14개, 연구기관 기술이전 42건, 신규창업 29개 등의 성과를 거뒀다”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수혜기업 매출은 240억원을 달성한 데 이어 신규 일자리도 94개나 창출했다. 특히 수도권 기업의 지역 이전을 추진, 8개 기업이 본사를 춘천으로 이전하는 성과도 거뒀다.

장 단장은 “기업 하기 좋은 도시 춘천에 다양한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지원기관, 지자체와 협력하고, 다양한 기업지원사업을 발굴하고 지원할 것”이라며 “교육, 취업, 창업이 연계된 대학과, 지역 맞춤형 산학협력 선순환 모델을 구축하고 특구의 발전, 지역 정착률 향상 등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9년부터 전국 14개 지역을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 해당 지역의 우수한 인프라와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술 발굴부터 창업, 기업성장과 지원 등을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춰 자율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는 인프라·세제 혜택 등의 지원을 기반으로 국가 균형 발전을 꾀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 미라클랩은 국내 14개 강소연구개발특구의 역량과 가능성을 점검하는 ‘균형 발전의 거점, 강소특구를 가다’ 시리즈를 게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