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의 간신열전] [228] 절절하사(折節下士)
절절하사(折節下士)란 큰 뜻을 품은 사람이 자기 주장이나 생각을 굽히고 여러 선비들에게 자기를 낮춘다는 뜻이다. 하사(下士)는 하인(下人)이라고도 하는데 남에게 자기를 낮춘다는 뜻이다. 조선 임금 중에서 이를 잘 갖추었던 임금은 태종이다. ‘태종실록’ 총서에는 젊은 시절 태종 모습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고려 말 태종은 세상을 구제할 뜻이 있어 능히 자기 주장이나 생각을 굽히고 여러 선비들에게 자기를 낮추었다.” 이는 상투적 표현이 아니다. 여러 형제들 중에 유독 이방원에게 많은 사람이 따른 이유를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 예나 지금이나 리더가 절절하사(折節下士)할 때라야 많은 이들이 따르게 된다.
많은 사람이 따르게 하는 또 한 가지는 너그러움이다. 공자는 ‘논어’에서 관즉득중(寬則得衆)이라고 했다. 사실 관(寬)과 절절하사지심(折節下士之心)은 서로 통한다. 설사 자기 마음에 들지 않고 자기 뜻과 어긋나더라도 많은 이가 바라는 쪽으로 선택하려면 자기를 낮춰야 하고 그렇게 하면 너그러워져 많은 이들이 따르기 때문이다.
세습 왕조 시대에도 이처럼 민심(民心)을 얻기 위한 임금들의 수양이 끊임없이 강조되었다. 그렇다면 국민들이 지도자를 선출하는 민주사회에서는 이 점이 더 중시되어야 하는데 유감스럽게도 실상은 그렇지 않다. 선거 과정에서만 잠깐 자기를 낮추는 시늉을 할 뿐 막상 자리에 오르면 제왕도 이런 제왕이 없는 것이 지난 20여 년간 대통령들이 보여준 모습이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절절하사(折節下士)는 그저 선거 승리를 위한 꼼수의 하나로 전락한 것이다.
태종은 정승 조준과 하륜이 세상을 떠났을 때 이렇게 말했다. “나는 두 사람을 그냥 신하로 대하지 않았고 늘 스승과 같은 신하[師臣]로 대했다.” 한 번도 이름을 부르지 않고 늘 ‘조정승’ ‘하정승’이라고 불렀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野 "특별감찰관, 근본 대책 아냐" 한동훈 "文정부 5년간 왜 임명 안했나"
- ‘레드 스위프’ 감세 속도전...美 경제 부흥이냐, 빚더미냐
- 美·中 고래 싸움 격화 예고...韓,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까
- 유재석 울린 ‘박달초 합창단’, 유퀴즈 상금 100만원 기부
- 故 송재림 14일 발인… ‘해품달’ 정일우 “형, 우리 다시 만나”
- [WEEKLY BIZ LETTER] ‘마케팅 천재’ 스위프트, 대중 보복심리 꿰뚫었다
- [오늘의 운세] 11월 15일 금요일 (음력 10월 15일 癸未)
- “팸테크 투자로 여성 건강 좋아지면, 韓 GDP 연간 150억달러 증가 효과”
- “군인들 밥값 대신 결제” 말하자… 식당 사장님이 내린 결정은
- “‘수능 금지곡’ 아파트 떠올라” ... ‘노이즈’ 40번 등장한 수능 국어 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