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충전 꼬드긴 여성…가짜 틱톡 앱 깔고 "1억 날렸다"

최승훈 기자 2024. 3. 20. 20: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을 베낀 가짜 앱에 속아서 돈을 빼앗겼다는 피해자가 늘어나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조금 친해지자, 여성은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앱이 있다며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소개했습니다.

[A 씨/가짜 틱톡 앱 피해자 : 일주일에 한 60만 원, 70만 원 정도 막 이렇게 (이익이)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이거 용돈 벌이로 괜찮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을 베낀 가짜 앱에 속아서 돈을 빼앗겼다는 피해자가 늘어나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많게는 1억 원을 돌려받지 못한 사람도 있습니다.

최승훈 기자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원도에 귀촌한 50대 남성 A 씨는 지난 1월 데이팅 앱에서 외국인 여성과 대화를 시작했습니다.

조금 친해지자, 여성은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앱이 있다며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소개했습니다.

여성이 보낸 링크로 내려받은 앱은 아이콘과 화면 모양까지 틱톡과 똑같았습니다.

상품을 사고파는 '틱톡샵' 기능만 추가돼 있었습니다.


300만 원을 충전해 여러 상품을 사들이자 잠시 뒤 10~20% 비싼 가격에 사 가겠다는 주문이 들어왔습니다.

[A 씨/가짜 틱톡 앱 피해자 : 일주일에 한 60만 원, 70만 원 정도 막 이렇게 (이익이)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이거 용돈 벌이로 괜찮겠다.]

A 씨는 귀촌 자금으로 가지고 있던 1억 1천만 원을 몽땅 충전했습니다.

그런데 이익을 찾아가려 하자 고객센터는 수수료 5%를 내야 한다며 거절했고, 원금까지 한 푼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부산에 사는 40대 남성 B 씨도 데이팅 앱에서 알게 된 한 여성의 말을 믿고 같은 앱에 4천만 원을 충전했다가 떼였습니다.

[B 씨/가짜 틱톡 앱 피해자 : (틱톡샵이) 한국에 들어온다는 걸 미리 인지하고 있어서 그런지 전혀 의심을 못 했고 정교하게 똑같이 만들어져 있다 보니까….]

여성이 자신이라며 보낸 사진 속 인물을 확인해 보니 이름도, 나이도 다른 한국인 인플루언서였습니다.

앱은 틱톡을 베껴 만든 가짜 앱이었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대단한 어떤 기술력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요. 기본적인 전산 지식이 있으면 (대학교) 재학생이라도 할 수 있고요.]


이 앱으로 피해를 봤다는 사람들이 서울과 부산, 강원 등 전국 곳곳에서 고소장을 냈고, 경찰은 IP 주소와 계좌번호를 토대로 용의자를 쫓고 있습니다.

틱톡코리아는 "국내에는 틱톡샵의 상표만 출원했을 뿐 출시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다"며 틱톡샵 사칭을 주의해 달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최준식·하 륭, 영상편집 : 최혜란)

최승훈 기자 noisycar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