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받은 바다…해수 온도 역대 최고 행진에 기후 재앙 공포

유영규 기자 2024. 3. 19. 08: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구 온난화로 바다 수온이 급격히 오르면서 지난해 3월 중순 이후 세계 바다의 평균 해수면 온도가 매일 역대 최고 일일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고 미국 CNN 방송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과 메인대 기후변화 연구소 기후재분석기(Climate Reanalyzer)에 따르면 전 세계 바다의 평균 해수면 온도는 지난해 3월 중순부터 1년간 매일 1982년 이후 역대 최고 일일 온도를 기록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바다 수온이 급격히 오르면서 지난해 3월 중순 이후 세계 바다의 평균 해수면 온도가 매일 역대 최고 일일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고 미국 CNN 방송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과 메인대 기후변화 연구소 기후재분석기(Climate Reanalyzer)에 따르면 전 세계 바다의 평균 해수면 온도는 지난해 3월 중순부터 1년간 매일 1982년 이후 역대 최고 일일 온도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 전체 평균 해수면 온도는 전년보다 0.25℃ 오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NOAA 소속 해양학자 그레고리 C.존슨은 CNN에 "이는 지난 20년 동안 오른 온도가 불과 1년 만에 오른 것"이라며 "꽤 크고, 놀라운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일일 해수면 온도 그래프


과학자들은 바다가 이렇게 뜨거워진 것은 지구 온난화에 더해 지난해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자연현상인 엘니뇨가 평년보다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해 발생하는 과도한 열의 90%는 바다에 저장되기 때문에 해양 생태계가 지구 온난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러한 해수면 온도 상승은 결과적으로 산호초 등 해양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폭풍, 폭우 등 잦은 기상 이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호주의 세계 최대 산호초 군락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에서는 산호가 하얗게 변하는 대규모 백화 현상이 또다시 관측되기도 했습니다.

올해에도 지금처럼 바다 온도가 높게 유지된다면 지난해 잦은 허리케인과 폭우 등으로 힘든 시간을 보낸 북대서양 인근 국가들에 올해에도 예측하지 못한 기상 이변이 닥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프랑스 메르카토르 해양 연구소의 해양학자 카리나 본 슈크먼은 CNN에 "바다가 따뜻할수록 폭풍우에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도 많아진다"며 과거에는 엘니뇨 현상이 약화하면 보통 해수면 온도가 낮아졌지만, 현재로서는 언제 바다 온도가 평균 수준으로 떨어질지 예측하는 것조차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NOAA의 존슨은 바다의 온도가 변하는 원인에는 여러 자연적 요인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계속해서 오르는 한 해수면 온도의 최고 기록은 계속해서 깨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메인대 기후변화 센터 기후재분석기(Climate Reanalyzer) 제공,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