兆단위 마일리지·페이…전금법 '폭풍전야'

권화순 기자, 최우영 기자 2024. 3. 19. 05: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머지 포인트'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개정된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시행을 앞두고 항공사, 게임사, 백화점 등 유통업계와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까지 긴장하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8월 개정된 전금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중이다.

금융위는 시행령을 개정하기 전 국회 정무위원회에 개정법 적용 범위와 대상을 사전 보고해야 한다.

전금법은 '머지 포인트' 환불대란 이후 마련된 법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카카오·토스 포함 땐 충전금 외부 기록·관리
9월 시행 앞두고 항공사·게임사도 긴장
전금법 개정안 적용 가능성 있는 주요 업종들/그래픽=김다나


'머지 포인트'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개정된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시행을 앞두고 항공사, 게임사, 백화점 등 유통업계와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까지 긴장하고 있다. 3조원이 넘는 항공마일리지가 당국 규율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하루 평균 1조원이 넘는 네이버·카카오페이 등 기존 선불업자는 충전 거래 정보를 외부에 기록·관리해야 해 반발하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8월 개정된 전금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중이다. 금융위는 시행령을 개정하기 전 국회 정무위원회에 개정법 적용 범위와 대상을 사전 보고해야 한다. 개정된 법은 올해 9월 시행된다. 금융위가 전금법 적용 범위를 어디까지 긋냐에 따라 관련 산업에 미칠 파장이 작지 않을 전망이다.

전금법은 '머지 포인트' 환불대란 이후 마련된 법안이다. 선불전자업체의 등록 요건이 강화되고, 선불금(포인트) 관리 기준이 강화됐다. 기존과 달리 업종 기준이 없어졌고 가맹점 숫자도 1개 이상이면 등록 의무가 있다. 대신 포인트 발행잔액·발행총액이 일정 규모 이상인 업자로 범위를 좁히기로 했다. 이 기준을 금융위가 시행령으로 정한다. 등록 대상이 되면 경영건전성 관리를 받아야 한다. 마일지리(선불금)의 50% 이상을 은행에 예치하거나, 신탁 혹은 보증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의무다.

이에 따라 규제를 받는 선불업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항공사 마일리지가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는 지난해 3분기 기준 2조4700억원, 9500억원으로 합쳐서 3조원이 넘는다. 다만 항공사가 보증보험 등에 가입하면 면제 대상이 된다. 실제로 최근 항공사들이 서울보증보험 등과 보험 가능 여부를 타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급법 개정안 주요 내용/그래픽=김다나


'날벼락'은 게임업체에도 떨어졌다. 넥슨 등 주요 게임사들은 자사 플랫폼에 공용으로 쓸 수 있는 게임머니(넥슨캐시)를 판매한다. 넥슨 플렛폼에 들어온 다른 게임업체에서 넥슨캐시를 사용하는데 역시 전금법 대상이다. 대형 게임 유통사들이 전금법 규제를 피하려고 게임머니 사용처를 자사로 제한하면 중소형사는 고사할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게임업계에선 적용을 면제해 달라고 금융위에 강력히 요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 선불업자들도 긴장한다. 금융당국은 소비자 보호라는 법 취지에 따라서 이들 업체의 선불 충전금 정보를 외부에 기록, 관리하는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결제원이나 신용정보원 등 공적인 기관이 거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면 향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소비자별로 거래 잔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다. 머지 사태 때 발생한 혼란을 막기 위한 조치지만 해당 업체는 반발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규모가 커진 선불업자의 경우 그에 상응하는 소비자 보호 장치를 둬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의무"라며 "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서 정보의 기록, 관리를 엄격하게 해야 제2의 머지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권화순 기자 firesoon@mt.co.kr 최우영 기자 you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