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야”…어머니는 하염없이 화면을 어루만졌다

전현진 기자 2024. 3. 18. 21: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입양 박동수씨, 유전자 검사 통해 40년 만에 감격의 ‘화상 상봉’
1984년 실종됐다 미국으로 입양된 박동수씨가 18일 화상 대화를 통해 40년 전 헤어졌던 어머니·형제들과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경찰청 제공
생활고로 김해 친척 집에 맡겨져
5세 때 어머니 찾으러 나갔다 실종
2001년 방한해 유전자 정보 등록
무연고 해외입양인 가족찾기 결실
서로의 안부 물으며 눈물의 재회

다섯 살 때 실종돼 가족과 헤어진 다음 미국으로 입양된 40대 남성이 유전자 검사를 통해 40년 만에 가족과 다시 만났다.

경찰청과 재외동포청·아동권리보장원은 18일 ‘무연고 해외입양인의 가족 찾기를 위한 유전자 검사’를 통해 40년 전 실종 처리됐던 박동수씨(45)가 어머니와 형제를 다시 만났다고 밝혔다.

1980년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던 이애연씨는 자식 6남매 중 막내 박동수씨를 포함한 4남매를 경남 김해의 친척 집에 맡겼다. 그런데 1984년 5세이던 박씨가 ‘어머니를 찾으러 간다’며 집을 나섰다가 실종됐다. 실종된 박씨는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아동 보호시설과 입양기관을 거쳐 이듬해 미국으로 입양됐다. 가족들은 박씨가 입양 간 사실은 물론 생사조차 알 수 없었다.

미국에서 자란 박씨는 대학 3학년이 되던 2001년, 한국을 방문해 헤어진 가족을 찾고자 입양 업무를 처리한 대한사회복지회를 찾아갔다. 하지만 단서가 될 만한 정보를 찾지 못했다. 2012년 다시 방한해 유전자 검사를 통한 가족 찾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듣고 경찰서에서 유전자를 채취했다. 박씨는 2016년까지 한국어학당에 다니면서 한국에 체류했지만 이번에도 가족 찾기에 실패하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2021년 10월 상황은 바뀌었다. 박씨의 친형 박진수씨가 ‘어린 시절 실종된 두 남매를 찾고 싶다’고 실종신고를 하면서다. 막내 박씨뿐 아니라 다섯째 여동생 박진미씨도 과거 다른 집에 맡겨졌다 실종됐기 때문이다. 이듬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어머니 이씨의 유전자 정보(DNA)를 채취했는데, 과거 유전자 정보를 채취해둔 박동수씨와 친자관계일 가능성이 크다는 1차 검사 결과가 나왔다.

박씨는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다. 미국에 있는 박씨와 연락이 닿지 않아서다. 경찰은 제주경찰청 미제수사팀에 사건을 이관해 장기 실종자로 분류된 박씨의 행방을 찾아나섰다. 시카고 총영사관을 통해 박씨의 최종 소재지가 파악됐고 연락이 닿았다. 박씨와 이씨가 친자관계라는 국과수의 2차 감정 결과는 지난 2월 나왔다.

누나 진숙씨, 어머니 이애연씨, 형 진수씨(오른쪽부터)가 어머니 이씨가 머무는 요양 기관에서 박씨가 나오는 화면을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경찰청 제공

박씨와 가족의 만남은 우선 화상으로 이뤄졌다. 박씨는 오는 5월쯤 방한이 가능한 상황이라 화상으로 먼저 가족을 만나고 싶어했다. 화상 상봉식은 이날 오후 이씨가 머무는 요양 시설에서 이뤄졌다. 형 진수씨와 누나 진숙씨도 함께했다.

“너무 서글퍼.” 40년 만에 화상으로나마 얼굴을 맞댄 가족들은 웃다가 울기를 반복했다. 넥타이까지 갖춰 맨 박씨는 영어와 어눌한 한국어를 섞어 안부를 물었다. 아버지와 첫째·둘째 형제는 오래전 세상을 떠나 만날 수 없게 됐다.

“어머니가 동수랑 진미(넷째)는 마음속에 항상 함께 있다고 했어. 너무 그리워하셨어.” 진숙씨가 대신 말했다. 어머니 이씨는 화면 속 아들 앞에서 자꾸 고개를 떨궜다. 재회한 가족들은 아직 실종 상태인 진미씨도 만나게 되길 기원했다.

무연고 해외입양인의 가족 찾기를 위한 유전자 검사는 과거에는 국내에 들어와야만 유전자 등록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14개 해외입양국 소재 34개 재외공관에서도 등록할 수 있다. 이 제도로 헤어진 가족이 만난 건 2020년부터 올해까지 다섯 번째다.

전현진 기자 jjin2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