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사진 속 이슈人] 또다시 푸틴 선택한 러 국민, `대체 불가 리더십`에 몰표 던져

박영서 2024. 3. 18. 19:1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이 대선 종료 후 모스크바 고스티니 드보르에 마련된 자신의 선거운동본부를 찾아 감사를 표하면서 연설하고 있습니다. AP 연합뉴스

러시아 국민들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나라를 6년 더 맡겼습니다. 러시아 대선 사상 가장 높은 지지율로 푸틴을 또 다시 선택한 것이죠. 법과 질서를 회복하고 경제도 호전시켜 러시아를 다시 대국으로 부활할 희망을 보여줬으니 국내적으로 인기가 높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시작한 이후 푸틴을 중심으로 단결해야 한다는 정서가 강화된 것도 대선 압승에 힘을 보탰습니다.

푸틴은 17일(현지시간) 종료된 러시아 대선에서 예상대로 압승했습니다. 5선에 성공하면서 푸틴은 2030년까지 러시아를 계속 이끌게 됐습니다.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모스크바 시각으로 17일 오후 8시 37분 기준 전국 투표율은 74.22%입니다. 이는 러시아 대선 투표율 신기록입니다. 개표가 95.08% 진행된 상황에서 푸틴의 득표율은 87.32%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역사상 가장 높은 득표율입니다.

서방이 기대했던 시나리오는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러시아가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시작하자 서방은 고강도 경제 제재를 가하면 그의 통치 기반이 무너질 것이라고 봤습니다. 특히 지난해 6월 용병기업 바그너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전차를 끌고 모스크바를 향해 진격하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을 때는 푸틴의 철옹성 같은 통제력이 흔들리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지요.

지난달에는 러시아 반정부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가 시베리아 교도소에서 갑자기 사망하면서 조성된 추모 분위기가 대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푸틴은 보란 듯이 대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하며 '집권 5기' 시대를 열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5선을 확정한 뒤 모스크바 고스티니 드보르에 마련된 자신의 선거운동본부를 찾아 투표에 참여한 러시아 국민을 향해 "우리는 모두 하나의 팀"이라며 감사를 표했습니다. 또 "오늘 특히 우리 전사들에게 감사하다"며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싸우는 군인들을 특별히 언급했습니다.

푸틴에 대한 국민들의 견고한 지지는 적어도 국내에선 "그래도 러시아에 이만한 지도자가 없다"는 평가 때문입니다. 소련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에도 경제난을 해결하지 못하고 1991년 붕괴했습니다. 러시아 초대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모라토리엄(지급유예) 선언 등으로 러시아 위상을 추락시켰습니다.

푸틴은 2000년 처음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강한 러시아' 정책을 펼쳤습니다. 고유가 시대에 힘입어 러시아 경제를 끌어올린 푸틴은 석유·가스·식량 등 풍부한 자원을 무기로 세계 경제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서방이 제재를 가하고 있지만 러시아 경제는 예상보다 잘 버티고 있습니다

이리나 씨는 CNN에 "서방의 제재에 상관하지 않는다. 우리 산업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음이 자랑스럽다"고 말했습니다. 표트르 씨도 "월급은 적지만 그래도 살 만 하다. 모두 푸틴 대통령이 있기 때문"이다고 강조했습니다. 소련 붕괴 트라우마가 없는 젊은 층도 경제적 안정과 질서를 우선하는 분위기입니다. 권위주의적 통치라고 비판하지만 푸틴의 공(功)이 과(過)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그의 정치적 입지는 탄탄합니다. 정부에 비판적인 독립언론과 서방 주요 소셜미디어의 접속은 차단됐고, 특별군사작전을 비판하면 처벌받는 상황에서 국민들은 점차 전시라는 현실에 무뎌지고 무관심해지고 있습니다. 반정부 여론을 결집할 지도자도 마땅치 않습니다. 나발니는 사망했고, 부인이 남편의 뜻을 잇겠다고 선언했지만, 해외에 있어 러시아 내부에까지 영향력을 미치기엔 역부족입니다. 다른 반정부 인사들도 대부분 해외에 망명 중입니다.서방은 일제히 이번 대선이 공정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존 커비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이 선거는 명백히 자유롭지도, 공정하지도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대러 최전선 국가인 폴란드는 "투표는 (러시아) 사회를 극도로 억압한 채 치러졌고, 이는 자유롭고 민주적인 선택을 불가능하게 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영서 논설위원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